메모장 색 반전 - memojang saeg banjeon

윈도우 자체 다크모드 혹은 크롬강제다크모드 등

여러가지 다크모드에서 지원 못하는 숨겨진 선이나 텍스트를 보고싶을때,

혹은 pdf 창을 검게 보고싶을때

윈도우 검색창에 color filter로 검색하면 요게 뜬다.

여기서 on 으로 해주고,

Inverted 클릭해주면 완료

난 \pdf 파일을 다크모드로 보고싶어서 세팅했고,

이랬던 pdf뷰가

단축키 win+Ctrl + C 샥 눌러주면

이렇게 바뀜

(스크린 캡쳐하면 흰색으로 보임. 폰으로 찍어서 빛반사ㅠ)

출처

//www.youtube.com/watch?v=fYFSr0uptts 

-끝-

ps.

혹시 이 글이

재미/유용하셨다면

아래 쿠팡짤 한번만 클릭

구글 배너광고 도 한번만 클릭

블로그 활동 응원 부탁드려요~ :p 

쿠팡 득템!

클릭하신 김에 필요하신거 아~무거나 구매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매우매우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p

구매가격은 그냥쿠팡접속하시는거랑 동일해염.

만약 다르면 제가 차액 100배 송금드림-_-ㅋ

쿠팡 짱

-진짜 끝-

윈도 10에서 메모장을 열면 백색의 강렬함이 눈을 자극한다. 몹시...

그런데 이걸 바꿀수 있는 기능이 이전 윈도우들에서는 제공이 되었으나 지금은 없는 듯 하다.

발전은 못할망정 이건 뭐...

하는 수 없이 윈도우의 레지스트리 변경을 통해 하는 수 밖에 없다.

근데 이건 조심하지 않으면 땀 나는 경우가 있다.

다음 순서로 진행한다

-. 윈도우 키 + R

-. regedit

-. HKEY_CURRENT_USER

-. Control Panel

-. Colors

우측에 여러 항목들이 나타난다. 이들 중에서 

Window라는 항목에 데이터 값이 255 255 255로 되어 있을 것이다.

이 값을 변경하면 윈도의 창 배경색이 바뀐다. 메모장, 아래아 한글...

255 255 255는 차례대로 Red Green Blue의 색상 값이다.

이 색상 값을 어떻게 변경할지를 참조할 사이트는

//www.w3schools.com/colors/colors_picker.asp

이곳에서 색상의 값과 색상이 어떤 색인지를 확인해서 값을 변경하면 된다.

데이터 값 변경은 해당 항목(Window)에 마우스 우측 클릭 후 "수정" 메뉴 클릭해서 변경하면 된다.

그 다음 항목으로 Window Text 항목이 있는데 이 항목의 데이터 값은 0 0 0으로 되어 있을 것이다.

이것은 글자 색이 검정색임을 의미한다.

이후 PC를 재 부팅한다.

단 이상의 색상들을 변경함으로 인해 윈도우 다른 프로그램들에서 글자가 안 보이는 현상이 없도록 색상 조합을 잘 해줘야 한다.

미덥지 않으면 기존의 색상 값을 다른 곳에 잘 저장해 둘 필요도 있고 혹은 레지스트리 값을 백업해 둘 필요도 있다.

윈도우 10 창 배경색 변경 (ex. 메모장 배경색 등)

어두운 곳에서 메모장을 킬 일이 있으면 항상 밝은 배경색 탓에 눈이 아플때가 많은데 이를 방지하고자 메모장의 배경색을 바꿔보려 합니다. 참고로 알려드리는 방법은 메모장 이외에 다른 윈도우 창에도 적용됩니다.

먼저 시작 단추 옆의 돋보기를 눌러 'regedit'을 검색해줍니다.

실행시켜보시면 좌측에 파일들이 보일겁니다. 여기서 밑에 사진의 경로대로 들어가줍니다.

(컴퓨터\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Colors 경로에 들어가주시면 됩니다. 상단에 주소창에 직접 타이핑해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경로대로 들어오시면 여러 항목들이 보이는데 스크롤을 쭉 내려주시면 'Window'와 'Window Text' 항목이 있습니다. Window가 배경색, Window Text가 글자색입니다.

초기 설정으로 Window의 값이 255 255 255, Window Text의 값은 0 0 0으로 설정되어있을겁니다.

띄어쓰기로 구분되는 세 숫자는 왼쪽부터 RGB값을 의미하니 초기설정의 Window는 배경색이 RGB가 모두 켜진 흰색이고 Window Text는 RGB가 모두 꺼진 검은색인겁니다.

원하는 색의 값을 적어주시고 컴퓨터를 재시작해주시면 변경한 색이 적용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킹루트(Kingroot) 어플로 루팅하자! (+킹루트를 SuperSU로 바꾸는 방법)

루팅하시려는 분들 많은데요, 방법을 몰라 루팅을 못하거나 실패하시는 분들이 많은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킹루트 어플을 이용하면 복잡한 절차없이 스마트폰에서 즉시 루팅이 가능합니다. kingroot v4.5.0.902 위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주신 뒤 안내되는 절차대로 몇번의 조작만으로 충분히 루팅을 하실 수 있습니다. (루팅하실때 킹루트 어플의 최신버전으로 루팅을 하시려는 분들이 있는데 최신버전의 경우 이후에 안내해드리는 절차를 통해 킹루트 어플을 SuperSU로 교체하는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킹루트로 루팅을 하신 뒤, SuperSU로 교체할 계획이신 분들은 구버전을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로 킹루트 어플이 중국산 어플이다보니 불안하거나 찝찝한 부분이 있는데요. 이러한 킹루트 어플을 삭제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uperSU 어플로 교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Replace_Kinguser_with_SuperSU-v2.4 먼저 위의 파일을 다운로드 해주세요. 압축을 푸시면 'mrw'이라는 폴더가 하나 있을겁니다. 이 폴더를 스마트폰 내장메모리에 옮겨놔주세요. mrw 폴더의 정확한 위치는 어디에 놓던 상관없지만 편의를 위해 내장메모리에서 최상위 경로에 놔주시는게 편합니다. 그 다음,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들어가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설치해줍니다. 설치하셨다면 검은 바탕에 흰색 글씨로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나타납니다. 이곳에 su를 써주시고 엔터를 눌러주세요. 그럼 설치하신 터미널 에뮬레이터가 루팅 권한을 요청할겁니다. 그럼 허용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제 명령창에 sh /(mrw 폴더의 위치)/root.sh 를 쓰고 엔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sh와 / 사이에는 띄어쓰기가 들어가야합니다. 만약 mrw 폴더를 최상위 경로에 두셨다면 명령어의 형태는 sh /sdcard/mrw/root.sh 가 될겁니다.) 처음에는 Error와 failed 등 불안한 단어들이 자주 보일겁니

레지스트리 편집기로 제어판 항목 숨기기, 이름 바꾸기

레지스트리 편집기로 다양한 것들을 할 수 있는데요. 그중에서 제어판에 표시되는 항목을 숨기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regedit'을 실행시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다음과 같은 경로로 이동해주세요.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 여기서 숨기실 항목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폴더를 찾으셔야됩니다. 저는 크롬을 숨겨보도록 하죠. 원하시는 폴더를 찾아 들어가시면 'DisplayName'이라는 항목이 존재합니다. 이 항목의 값이 제어판에서 표시되는거죠. 이 값을 바꾸면 제어판에서도 변경된 이름이 출력되죠. 이제 제어판에는 크롬이 제 이름으로 표시될겁니다. 이렇게요. 만약 이 DisplayName 항목을 제거하실 경우 제어판에는 해당 항목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런 식으로 제어판 항목을 숨기거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단, 항목을 숨기시면 나중에 제어판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하실 때 해당 폴더를 다시 찾을 수 있으셔야합니다. 그래야 DisplayName 항목을 다시 추가시켜 제어판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죠.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