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랜서버 노하마치 - makeu laenseobeo nohamachi

 2. 회원가입을 합니다. 약관동의는 필수이며, 보안코드는 회원가입 시와 로그인 시 항상 입력해야 합니다. 잘 안보이는 경우는 없었으니까 걱정마세요~ 참고로 "정보 메일을 받겠습니다."는 체크 해제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로그인을 한 후 홈페이지 중심에 있는 일반 도메인 검색에서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이름을 적고 검색을 누릅니다. (점 뒤에 오는 영어는 적지 않고 위와 같이 앞쪽 이름만 적습니다.)

 4. 검색 버튼을 누르면 검색창 바로 아래에 이와 같은게 뜹니다. 오른쪽처럼 파란색 글씨로 "등록하기"가 써있으면 등록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저 뱅글뱅글 도는 원이 로딩중이라는 뜻이라고 착각할 수 있는데, 절대 아닙니다. 바로 클릭하시면 됩니다.

 <-- 이건 등록이 불가능하다는 표시입니다.

 5.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해 등록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부터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 사진 보시고 잘 따라하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이 설정을 하시고 등록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요렇게... 도메인이 완성됩니다~!!!

 이제 도메인을 친구에게 알려주면서 "여기로 들어와" 하면 자신의 집 주소를 알려주면서 "여기로 놀러와" 하고 초대하는 것과 같은 셈이 됩니다. 아직 뒷쪽 과정은 나가지 않았지만, 지금 저 도메인으로 서버를 연다면 들어가지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바로 여러분의 공유기 때문입니다. 공유기는 자신의 사설 아이피의 범위가 미치지 않는 외부의 컴퓨터가 접속을 시도할 경우 보안을 위해 막아버리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유기를 뚫어주셔야 하는데요, 이 방법을 2번 과정에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공유기가 없으시다면 2번 과정은 그냥 넘어가주시면 되겠습니다.

2. 포트포워딩, DMZ로 공유기 개방하기

 포트포워딩, DMZ와 같은 말이 어렵게 느껴지실 수도 있는데요, 굳이 저 단어들의 뜻을 이해하실 필요는 없고요, 이 과정은 그냥 쓱 지나가버리면 되니까, 제 글 보시면서 차근차근 따라와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선 저는 iptime을 사용하기 때문에 iptime 공유기를 기준으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타 공유기는 검색 해보시면 방법 나오고요, 검색 안하시고 대충 짐작으로 하셔도 하실 수는 있을겁니다. ㅎㅎ

 우선 주소창에 아까 ipconfig 쳐서 본 공유기 설정 주소를 쳐 줍시다. iptime의 경우 192.168.0.1입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바로 이동됩니다.

 접속 하시면 이런 화면이 뜨실겁니다. 우측 하단에 공인아이피가 떠서 자막으로 가렸습니다. ㅎㅎ 가운데를 보시면 버튼이 세 개가 존재하는데요, "설정마법사"랑 "무선마법사"는 무시해주시고, "관리도구" 들어가줍니다.

 들어가시면 좌측에 메뉴탐색기가 있을텐데요, 여기서 여러분들은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DMZ를 할 것이냐, 포트포워딩을 할 것이냐. 무엇을 하든 상관은 없고, 둘다 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저는 하나씩 설명만 해드릴테니 알아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포트포워딩을 하시려면 메뉴탐색기 ->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으로 들어가줍니다.

 들어가신 후 위와 같이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정의된 리스트는 "사용자정의"로, 프로토콜은 "TCP"로 해주시고, 내부 IP 주소는 사설 아이피 직접 입력하시거나 아래쪽 박스에 체크 해주시면 됩니다. 제 아이피가 노출되는 부분은 가렸습니다~ 규칙 이름은 아무거나 해주시고, 외부 포트와 내부 포트는 네 칸 모두 25565로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DMZ를 하시려면 메뉴탐색기 ->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DMZ / Twin IP 설정 에 들어가줍니다.

 DMZ는 매우 간단합니다. 위쪽 DMZ에 체크해주시고 아래쪽 "현재 접속된 PC의 IP 주소로 설정" 박스에 체크하시면 자동으로 사설 아이피가 뜹니다. 그 후 적용 눌러주시면 됩니다.

 포트포워딩이나 DMZ를 하실 때 주의하셔야 할 점은 두 가지!

 1. 한 후 반드시 우측 상단에 있는 저장 버튼을 눌러준다.

 2. 유동아이피라고 해서 아이피가 매번 바뀌는 컴퓨터도 있는데, 그런 경우 같은 과정을 반복해주면 알아서 바뀐 아이피로 적용이 되므로 약간 귀찮을 뿐 큰 문제는 없다.

 이렇게 해서 공유기 설정까지 끝났습니다.

​ 3. 방화벽 해제로 최종적인 길 열기

 2번 과정을 진행함으로서 공유기 설정까지 완료되었습니다. 공유기가 외부 컴퓨터의 접속을 막아버려 이를 허용해주어야 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외부 컴퓨터의 접속을 막는 시스템은 공유기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어쩌면 당연한, 컴퓨터 자체 방화벽이 있죠!

 이번 과정에서는 윈도우 방화펵 풀기를 해보겠습니다. 윈도우 7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윈도우키를 누른 후 제어판에 들어가줍니다.​ 제어판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요, 여기서 "Windows 방화벽"에 들어가줍니다. 제 컴퓨터에서는 셋째 줄 가장 왼쪽에 있네요~

 방화벽 설정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다를 수도 있는데요, 둘 중 한 개만 연결되어 있으면 어떤 거에 연결되어 있는 상관은 없습니다. 여기서 좌측 메뉴에 있는 "Windows 방화벽을 통해 프로그램 또는 기능 허용"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름 참 기네요~ ㅎㅎ 절대로 전체 방화벽을 푸시면 안됩니다!

 들어가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설치하신 프로그램에 따라 뜨는 목록은 다를 수 있고요. 우선 우측 상단의 "설정 변경" 버튼을 누르셔서 프로그램 허용 여부를 변경할 수 있도록 모드를 변경해줍시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목록 중에서 "Java"가 있는 곳을 찾아봅시다.

​ 자바를 찾으신 후 자바 프로그램의 모든 박스에 체크를 해주시면 설정은 끝납니다. 체크 하신 후 우측 하단의 확인 버튼을 꼭 눌러주세요!

 드디어 서버 열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서버를 열어봅시다.

​ 4. 서버 구동기(버킷)을 이용해 서버 열기

 이제 서버 열 준비가 끝났으니 서버를 직접 열어야 합니다. 서버를 열기 위해서는 우리가 흔히 버킷이라고 부르는 서버 구동기가 필요합니다. 버킷은 버전별로 각각 다르며, .bat 형식의 버킷 파일과 .jar 형식의 craftbukkit이 한묶음이 되어 작동을 돕습니다.

 태양은 TRIUMVIRATES님의 1.6.4 버킷과 1.7.2 버킷을 사용합니다. 첨부해드리려 했으나 용량이 커서 첨부가 안되네요... 인터넷에 널린게 버킷이니 잘 찾아보시면 있을겁니다. 1.5.2 버전으로는 서버를 열지 않아 버킷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1.8 버전의 경우 버킷서버에서는 명령어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아 랜(LAN) 서버를 여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랜 서버 여는 방법은 추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 처음 버킷을 실행한 후 Done하고 help 뭐시기 뜨면 stop을 입력해 버킷을 종료해주세요. 그러면 버킷 있던 폴더에 여러가지 파일들이 생겼을 겁니다. 그중에서 우리가 집중할 거는 오직 server.properties 파일입니다. 우선 이 파일을 워드패드나 메모장으로 열어주세요.

 그럼 위와 같이 문서가 뜹니다. 이 문서는 서버의 설정을 담당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그 사용법에 대해선 숙지해 놓아야 합니다.

 맨 위 Minecraft server properties 밑의 일시는 이 버킷을 마지막으로 구동시킨 때를 나타냅니다. 그닥 중요하진 않아요 ;;

 제가 알고, 또 만질 필요가 있는 것들만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llow-nether : 지옥 출입 가능 여부 true = 가능, false = 불가능

 level-name : 서버의 맵 이름을 무엇으로 할지 정하는 곳, 여기서 정한 이름대로 맵 이름을 설정하여 버킷 폴더에 넣어야만 해당 맵으로 서버가 열립니다. 대부분의 유저가 이 부분은 만지지 않습니다.

 allow-flight : 비행 허용 여부 true = 비행시 제약 없음, false = OP(서버 관리 권한) 없이 5초 비행 시 자동 킥(추방)

 server-port : 서버의 포트, 평상시에는 만지지 않지만 한 컴퓨터에서 서버를 여러 개 열 때에는 수정함

 level-type : 버킷 폴더에 맵 파일이 없어 맵을 생성하려 할 때, 어떤 컨셉으로 생성할 것인가, DEFAULT = 기본, FLAT = 완전한 평지, 나머지는 까먹었습니다 ㅎㅎ

 level-seed : 맵 생성시 사용할 시드, 비우면 랜덤

 server-ip : 원래는 서버 IP를 적는 칸이나, 절대로 무언가를 적어서는 안됨!!!

max-build-height : 건축이 가능한 최대 높이, 256보다 큰 수는 그냥 256으로 인식합니다.

 spawn-npcs : 주민 자동 생성 여부 true = 자동 생성, false = 생성 안함

 white-list : 화이트리스트 사용 여부 true = white-list라는 다른 문서에 닉네임이 적혀야만 접속 가능, ​false = 사용 안함

 spawn-animals : 동물 자동 생성 여부 true = 자동 생성, false = 생성 안함

 hardcore : 한 번 죽으면 서버에서 추방할 것인가 true = 추방​, false = 추방 안함

 texture-pack : 서버 전용 리소스팩(텍스쳐팩) 적용하는 곳, 무슨 링크를 적어야된다나... 외국 서버 운영자같은 전문자만 사용 가능

 online-mode : 정품만 접속 가능한지 여부 true = 정품만 접속 가능, false = 정품, 비정품 모두 접속 가능

​ pvp : 유저간의 전투 가능 여부 true = 전투 가능, false = 평화

 difficulty : 서버 난이도 0 : 평화로움, 1 = 쉬움, 2 = 보통, 3 = 어려움

 enable-command-block : 커맨드 블록 허용 여부 true = 허용, false = 비허용

 server-name : 서버의 이름을 정하는 곳. 실제로 어디서 이게 표시되는지는 모르겠다.

 gamemode : 처음 접속한 유저의 게임모드를 설정 0 = 서바이벌, 1 = 크리에이티브, 2 = 어드벤처, (1.8 이상의 경우) 3 = 관전

 max-players : 동시에 접속 가능한 최대 인원 수

 spawn-monsters : 몬스터 자동 생성 여부 true = 생성, false = 생성 안함

 motd : 서버 목록에서 이 서버가 떴을 때 보일 메시지 설정

 이 밖의 내용들 정리하자면, 플러그인은 플러그인 폴더 안에 넣으시면 되고, 맵은 이름을 서버 설정에서 level-name에 적으신 것과 같게 하신 후 버킷 폴더에 넣으시면 됩니다. 플러그인 적용법은 플러그인 배포할 때, 맵 적용법은 맵 배포할 때 더 자세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이고 힘들어... 이번 포스팅이 도움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혹시 안되는 부분이나 궁금하신 부분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보세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