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 썬팅 나무위키 - luma sseonting namuwiki

솔라가드 프리미엄 일산점 입니다

자동차 썬팅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상담을 하다 보면 다양한 질문을 받게 되는데 오해로 인해 왜곡된 진실이 많더라구요

설명 하기에 앞서, 우리가 말하는 썬팅, 틴팅은 무엇일까요?

나무위키에서 말하는 썬팅은

자동차 유리의 투과율을 낮추기 위해 필름을 붙이는 행위라고 설명 합니다

맞습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투과율은 가시광선 투과율 즉 우리가 내부에서 밖을 바라볼때에

어느정도 보이느냐의 문제 입니다

여기서 자주 물어 보시는 자동차 썬팅에 관한 오해와 진실 첫번째는

바로 가시광선투과율, 썬팅 농도에 관한 오해 입니다

'너무 뜨거워서 그러는데 어두운 걸로 해주세요'

'어두운걸로 해야 안뜨겁죠?'

'눈이 부셔서 그러는데 어두운걸로 해주세요'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인다고 해서 뜨겁지 않고 눈이 안부실까요?

오해 입니다

아, 물론 어두우니까 어느정도 효과는 있을것 같긴 하네요

농도는 말그대로 오로지 가시광선 투과율을 나타낸 것이지

뜨거움을 막아주는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 아니며 눈부심을 막아 주는 수치도 아닙니다

우리가 피부에서 뜨거움을 느끼는 광선은 적외선 입니다

그래서 적외선을 차단시켜주는 필름을 열차단필름이라 하며 열차단 필름은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필름에서 열을 흡수 하는 방식에 '열흡수' 타입 '열차단필름'

필름에서 열을 반사 시키는 방식의 '열반사' 타입'열차단필름'

모든 브랜드에서 필름을 런칭 할때 가장 앞세우는 광고가 '열차단율' 즉, 총에너지차단율 이죠?

하지만 여기에도 오해가 숨어 있습니다

열흡타입 필름 - 총 태양에너지 72% 차단의 경우 열흡수타입 필름의 재방사율과 열투과율

'열흡수타입'의 경우 표면상의 수치가 매우 높습니다

최근에 어떤필름은 99%까지도 총에너지를 차단한다고 하더군요?

총 태양에너지를 99% 차단 한다고? 와우! 대박이네요

필름에서 열을 직접 흡수 하는 필름의 경우

필름의 내구성이 얼마 버티지를 못한다는게 가장 큰 단점 입니다

99%의 적외선을 차단하긴 하지만

필름은 자신에게 흡수된 열을 얼마 버티지 못하고 흡수한 열을 재방사 하게 되며

그 재방사된 에너지가 내부로 방입되기 때문에

99% 차단율이라고 했는데도 왜이렇게 뜨거운가요?

라는 질문을 다시 하시게 된답니다

또한, 흡수 타입필름의 경우 시간이 지나게되면

필름이 열을 머금기 때문에 변색이 오고

필름이 녹아 열선의 경우 보글보글~ 올라오게됩니다

열반사타입 필름 - 총 태양 에너지 차단율 65% 의 경우 열반사타입 필름의 재방사율과 열투과율

그렇 다면 열반사타입은 어떨까요?

열반사타입 필름은 필름에서 열을 반사시키는 양을 총 에너지차단율로 나타내게 되고

그 수치가 60~70%라면 정말 높은 필름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말그대로 필름에서 열을 팅겨내는것이기 때문에

필름에 손상이 오지 않습니다

좀 더 알아 듣기 쉽게 계산을 해 볼까요?

100의 열에너지가 침투 했을 경우를 가정하면

99%의 차단율을 가진 열흡수 타입의 경우

필름은 들어오는 열의 99%를 흡수 -> 99%중의 50%를 내부로 재방사 하기 때문에

1% + 49.5% = 50.5%의 열이 내부로 들어 오게 됩니다

반면에,

열반사타입 필름 70%를 시공 하셨다면 70%를 밖으로 반사시키게 됩니다

내부로 들어오는 열은 30% 입니다

또 하나, 흡수 타입의 경우 필름의 손상도가 크기 때문에 막상 시공하셨을때 99%를 흡수 한다고 해도

점점 필름이 손상이되기 때문에 흡수율이 눈에 띄게 줄어 들게 됩니다

하지만 반사타입의 경우 필름이 직접 열을 흡수 하지 않기 때문에

처음 시공 했을때의 차단율 그대로 유지 됩니다

여기서 또 한가지 진실,

자동차 썬팅에 법적인 규제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나라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8조에 의하면

자동차 앞면 전면의 경우 가시광선 투과율 70% 넘지 말아야 하고

측면의 경우 40%를 넘지 말아야 합니다

이를 어길 경우 범칙금은 2만원 입니다

그렇다면 정말 전면 70% 측면 40%로 썬팅을 해야 하나요?

진실 이지만 오해 입니다

실제로 단속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며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하시는 농도가 전면의 경우30%대 측후면의 경우 15%대 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전면과 1열의 썬팅은 법으로 금지 하고 있으며

유리자체에 차단율이 함유된 솔라글래스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토록 중요한것이 가시광선투과율이기 때문에 법으로 규제하는 것인데

농도가 진하면 진할수록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보는 시인성이 떨어 지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썬팅 필름은 염료를 통해 필름에 색상을 입히게 되고

그 염료의 양으로 가시광선 투과율을 결정 합니다

진한 농도 일수록 당연히 염료를 많이 사용하게 되고

사생활 보호 효과는 증대 하지만 시야가 어두워지기 때문에 그만큼 위험하다는게 현실 인데요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필름은 염료를 사용하지 않은 필름 입니다

염료를 사용하지 않고 어떻게 색감을 내냐 라고 물으신다면 방법은 당연히 있지요

바로 반.사.빛 입니다

시중에 판매 하는 염료 필름 대신 요즘 각광받는 필름이 메탈 필름인데요

혹시 쌍팔년도에 한창 유행하던 거울 처럼 보여지는 필름 생각하신 분, 분명히 계시죠?

아닙니다

벤츠 S클래스에서 비춰지는 고급스러운 색감의 에메랄드 반사빛 처럼

투명한 필름 베이스에 각종 메탈성분을 넣어서 반사빛으로 색감을 표현하는 필름을 말하며

저희 솔라가드 프리미엄 시리즈 중 퀀텀 시리즈가 해당 됩니다

무염색의 투명베이스 필름 '퀀텀' 전면 28%의 밝은 시인성

저희가 시공 하면서도 항상 놀라는 퀀텀 시리즈는 무염색의 열반사타입 입니다

재시공율 0.1%의 도달할정도로 모두가 만족스러워 하는 기능과 내구성

그리고 스타일리쉬함을 가진 필름이며

무 염색의 시인성은 어떤 필름이든 따라올 수가 없더라구요

반면에 퀀텀이 별로다 하시는분들은 에메랄드 반사빛을 싫어 하십니다

그렇다면 한가지 메탈성분으로 블랙색감만을 가지고 있는 티타늄 필름도 좋습니다

자동차 썬팅에 관한 질문은 언제든지 환영 입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