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 fn키 비활성화 - kibodeu fnki bihwalseonghwa

F1~F11 키는 두 가지 방법으로 쓸 수 있다. 1. 표준 기능으로 사용할 때는 F1~F12 키를 있는 그대로 활용할 수 있지만, 2. 기능 키로 활용할 때는 F1~F12에 그려져 있는 그림의 기능이 수행된다. 이때 컴퓨터마다 그려진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수행되는 기능도 다르다. F1~F11 키를 눌렀는데 다음 사진과 같이 다른 기능이 작동해서 있는 그대로 활용할 수 없다면, 기능 키를 꺼줘야 한다. 이때 기능 키를 끄는 방법에는 다음이 있다.

*참고-Window나 Mac OS에서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을 바꾸고 싶은 경우, 7번을 먼저 참고할 것!

1. Fn + F1~F12

2. Fn Lock

3. Num Lock

4. Fn

5. Fn + Esc

6. 기타 키

7. 'Fn 키' 설정

8. Fn 키 설정이 특이한 키보드

9. 소프트웨어적으로 키맵핑

 

1. Fn + F1~F12를 사용한다.

애플사의 키보드. 애플은 Fn 키에 지구본 모양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경우가 있다.

Fn(평션키)는 F1~F12키를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Fn + F1~F12를 사용하면 F1~F12에 할당되어 있던 다른 기능(이때 다른 기능이란  F1~F12에 그려져 있는 그림의 기능을 말한다.)을 끄고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Fn 키가 아예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그때는 Ctrl 키나 shift 키가 대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Fn 키가 있는게 일반적이니, 만약 없는 경우에는 무엇이 Fn 키를 대체하고 있는지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키보드의 정확한 제품명을 구글링해보는 게 낫다.

 

만약 매번 Fn + F1~F12를 누르는 것이 번거롭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Fn Lock(평션락)을 활성화하고 F1~F12를 사용한다.

Fn Lock(평션락) 키가 켜져 있으면 Fn(평션키)를 누르지 않아도 항상 누르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준다. Fn Lock 키 오른쪽 상단에 불이 꺼져 있다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이므로, 한번 눌러서 켜준다. 반대로 Fn + F1~F12를 눌렀는데도 작동하지 않는다면  Fn Lock 키가 이미 켜져 있는 경우일 수도 있다. 

 

3. Num Lock을 활성화하고 F1~F12를 사용한다.

hp사의 키보드 중 Num Lock이 있는 키보드.

Fn Lock이 없을 경우, Num Lock 키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Num Lock 키가 켜져 있으면 Fn 키를 누르지 않아도 누른 것처럼 만들어준다. Num Lock 키에 불이 꺼져 있다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이므로, 한번 눌러서 켜준다. 반대로 Fn + F1~F12를 눌렀는데도 작동하지 않는다면  Num Lock 키가 이미 켜져 있는 경우일 수도 있으니, 이 경우에는 F1~F12키만 누르거나 Num Lock 키를 비활성화하면 된다.

위는 hp 사의 키보드 중 Num Lock이 있는 버전이다. Num Lock키는 오른쪽처럼 숫자키가 오른쪽에 따로 있는 긴 키보드에 주로 있다. 만약 Num Lock 키의 오른쪽 상단에 작은 불빛이 있다면 그걸로 Num Lock 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만약 불빛이 없다면, 그냥 여러번 눌러보면서 활성화됐는지 실험해봐야 한다.

만약 Num Lock 키만 눌러서 해결되지 않는다면,  Fn + Num Lock, Ctrl + Num Lock, Shift + Num Lock와 같은 조합을 시도해 볼 수 있다.

 

4. Fn(평션키)을 활성화하고 F1~F12를 사용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몇몇 키보드에는 Fn 자체에 활성화 기능이 있다. 오른쪽 상단 불빛이 켜져 있다면 Fn 키가 활성화 되어 있다는 뜻이다.

경우에 따라서 Fn Lock 키가 따로 없고 Fn 키 자체에 활성화 기능이 있을 수도 있다. Fn 키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고 키를 누를 때만 활성화된다. 그런데 Fn 키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면 Fn이 항상 눌려 있는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F1~F12 키만 눌러도 Fn + F1~F12를 사용할 수 있다. Fn 키에 불이 꺼져 있다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이므로, 한번 눌러서 활성화시키면 된다. 반대로 Fn + F1~F12를 눌렀는데도 작동하지 않는다면  Fn 키가 이미 켜져 있는 경우일 수도 있다. 

위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키보드이다. Fn 키 오른쪽 상단에 불이 있는데, 이 불빛이 켜져 있다면 Fn Lock 이 활성화 돠어 있다는 뜻이다. 한 번 눌러서 비활성화할 있으며, 다시 한 번 누르면 활성화할 수 있다.

 

5. Fn + Esc를 눌러 평션락을 활성화하고 F1~F12를 사용한다.

키보드에 Fn Lock(평션락) 키도 없고, Fn 키 자체에 활성화 기능도 없다면 Esc 키가 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Fn + Esc를 눌러 펑션락을 활성화하면 F1~F1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다음 그림과 같은 아이콘이 Esc에 그려져 있거나 FnLk이라는 글자가 있으면 무조건 Fn Lock 기능이 수행된다. 하지만 그려놓지 않았을 경우에도 Esc 키가 Fn Lock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수 있으니 한번 시도해보자.

 

6. 기타 키

다음과 같은 키 조합이 Fn Lock(평션락)을 걸 수도 있다. 하지만 너무 많은 키를 마구잡이로 누르다간 예상하지 못했던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자. 이 경우에는 아래 있는 키 조합을 순서대로 시도해 보기 보다는, 자신이 가진 키보드의 제품명을 구글링하거나 제품 사용 설명서를 참고하는 게 더 낫다.

  • Ctrl + Fn
  • Shift + Fn
  • Ctrl + Shift + Fn
  • Ctrl + Shift + Num Lock + Fn

키보드를 통해 Fn Lock을 활성화 할 수 없다면, 소프트웨어 설정을 바꿔주자.

 

7. 'Fn 키' 설정을 바꾼다.

Window 운영체제를 쓰는 경우, 다음 단계를 따르면 표준 기능 키로 작동하게 만들 수 있다. 

  1. 제어판 > 키보드 > 키보드 속성을 선택한다.
  2. 'Fn 및 기능키' 설정을 선택한다.
  3. '레거시'를 선택하여 F1~F12키의 표준 기능을 사용한다.

이때 '레거시'를 선택하면 F1~F12키를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고, '기본값'을 사용하면 F1~F12키에 인쇄되어 있는 기능이 수행된다. 이 설정을 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해주면 된다.  (윈도우 버전에 따라 이 설정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다시 2번으로 올라가 키보드를 통해 Fn Lock을 활성화하자.)

 

Mac OS 운영체제를 쓰는 경우,  다음 단계를 따르면 표준 기능 키로 작동하게 만들 수 있다. 

  1. Apple 메뉴() > 시스템 환경설정을 선택한다.
  2. '키보드'를 클릭한다.
  3. 'F1, F2 등의 키를 표준 기능 키로 사용'을 선택한다.

위의 과정을 거쳐도 작동하지 않는다면 특이한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거나, 소프트웨어 문제가 생긴 경우일 수도 있다.

 

8. Fn 키 설정이 특이한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하고 있는 키보드의 정확한 제품명을 구글링하거나, 키보드의 사용설명서를 바탕으로 Fn 키 설정을 찾아보자.

 

9. 소프트웨어적으로 키맵핑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

위의 모든 과정을 거쳐도 작동하지 않는다면 키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물리적인 키보드와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의 맵핑(mapping)이 잘못된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스로 고치려고 하지 말고, 수리점에 맡기는 게 가장 안전하다.

 

 

 

 

 

 

*해당 포스트의 정보는 원하는 방식으로 활용 가능하며, 출처는 해당 포스트의 주소가 아니라 각주로 달아놓은 원 출처를 표시해도 상관없습니다. 그러나 해당 포스트의 내용을 그대로 또는 거의 비슷하게 스크랩하여 다른 포스트에 올리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