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역 지하철 노선 - jamsil-yeog jihacheol noseon

송파구 및 수도권 동부의 광역 교통 거점으로서 승객 많은 2호선 안에서도 최상위권의 유동 인구를 자랑한다. 8호선의 수요까지 합산하면 2019년 기준 205,623명이 타고 내리는 역으로서 강남역에 이어 전국 2위의 승하차객 수를 자랑하는 역이다.[13] 강남역에게 왕좌를 내주기 전까지는 1990년대 서울 지하철에서 승하차수 1위를 달성했던 역이였다. 하루 평균 20만 명 이상의 승하차 인원을 보이는 곳은 강남역과 잠실역 단 둘뿐이었으나, 홍대입구역이 하루 평균 20만 명을 돌파해버렸다.[14] 2호선 쪽은 송파구내 도시철도역 중 최다 승객 수를 자랑한다.

  • 2호선 안에서만 집계해도 강남역에 이어 2위이다. 8호선이 개통된 뒤로는 꾸준히 조금씩 감소 중이었는데, 2004년 지하철-버스 환승할인 제도가 도입되면서 이용객이 다시 늘어나기 시작하였고, 2007년에는 경기도-서울버스간 환승할인 제도가 도입되면서 상승세에 날개를 달았다. 또한 2017년에는 한반도 최대 높이의 롯데월드타워가 완전개장을 하면서 잠실역에서 타고 내리는 승객들이 더욱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8호선 승하차량 기준으로도 전체 4위다.

  • 이 역의 주된 이용객은 롯데월드 및 롯데월드타워 상권을 찾아오는 관광객 및 쇼핑객들, 잠실동 역세권에 사는 근처 주민들, 송파구, 강동구에서 넘어오는 버스 환승객들이다. 특히 송파, 강동 각지에서 몰려드는 버스 환승객들은 주로 5호선 역세권에 사는 경우가 많다. 5호선이 서울 도심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5호선을 타고 테헤란로를 가려면 천호역-잠실역에서 2회 환승을 거쳐야 하는 단점으로 인하여 버스로 한번에 잠실로 넘어오는 사람들이 많다.

  • 2018년 12월 1일에 9호선 3단계 구간(삼전역~중앙보훈병원역)이 개통되어 송파구, 강동구에서 강남 방향을 가기 위해 버스를 타고 이 곳에서 환승하는 승객들이 9호선 3단계 구간으로 분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4단계 개통 후에도 배차가 긴 5호선 보다는 9호선을 이용할 것이기 때문에 9호선으로의 분산 효과도 클 것이다.

  • 5호선과 8호선이 연장되면 경기동북부 지역 중 하남 미사, 남양주 별내, 진접, 오남 및 구리발 잠실 방면 광역버스 수요가 대거 이탈해 8호선 혼잡도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2호선을 환승할 것으로 보이고 현재 버스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인원도 상당하다는 것을 보면 승하차 인원 자체는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편집]

잠실역은 2호선 승강장과 8호선 승강장 역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는 지하역이다.

5.1. 서울 지하철 2호선[편집]

2호선 승강장[15]

2호선 1984년 과거 역명판

2호선 2022년 현재 역명판

2호선 영어 변경 전 역명판

8호선 과거 영어 로마자 역명 변경전 환승안내


잠실나루 ↑

↓ 잠실새내

서울 지하철 2호선

건대입구·성수·왕십리·시청 방면

종합운동장·삼성·강남·교대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2호선 (내선: 사당 방면) →

8호선

10-4

2호선 (외선: 왕십리 방면) → 8호선

1-1


엄청난 이용객에 비해 승강장 폭이 상당히 좁은 편이다. 8호선 승강장 폭의 약 절반 가량이다. 이 역에 선로 기둥 사이에 분수대를 설치했었다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철거되었다.

롯데역 답게 2호선 잠실역의 스크린도어에는 롯데월드 어드벤처의 시즌 광고가 꾸준히 런칭되고 있다.

역 구내에 6퍼밀의 구배가 있다.

5.2. 서울 지하철 8호선[편집]

8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몽촌토성 ↑

↓ 석촌

서울 지하철 8호선

몽촌토성·강동구청·천호·암사 방면

석촌·가락시장·복정·모란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8호선 (모란 방면) → 2호선

1-1

8호선 (암사 방면) → 2호선

6-4


출근 시간대 암사행 맨 뒷칸과 퇴근 시간대 모란행 맨 앞칸은 피하는 것이 좋다. 2호선 환승통로가 한쪽에 쏠려 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보조배터리 대여기기인 해피스팟이 해당 승강장 상,하행선 방향에 존재했으나 철거되었다.

한때 암사 방면(상행) 승강장에서 열차 진입시 하행 전용 열차진입음이 울렸었으나 2021년 하반기에 원래대로 상행 전용 열차진입음으로 바뀌었다.

6. 연계 교통[편집]

2013년 7월 10일 첫차부터 잠실공영주차장 진출입로 및 9번출구 앞 정류소 이설공사로 인해 구리/남양주 일대에서 넘어오던 광역버스들이 6번 출구(하차), 9번 출구(승차)에서 분산배치가 되었다.

2016년 12월 2일부터 잠실역 지하의 광역환승센터가 완공되어 잠실역이 종점인 노선이 이쪽에서 출발하고 있다.

잠실역8번출구 (서울 24132)

30-3

30-5

35

341

3216

3313

3315

3411

3414

4319

8331

잠실역9번출구 (서울 24135)

3319

3413

4319

M5333

잠실역1번.11번출구 (서울 24134)

341

1100

3216

3313

3315

3411

3413

3414

4319

8001

M5333

TOUR03

TOUR12

잠실역.롯데월드몰 (서울 24017)

302

303

320

2311

2412

P9243

잠실역.롯데월드 (서울 24146)

301

341

345

360

1007-1

3217

3313

3314

3315

3317

3411

3414

4319

6900

N13

롯데월드 (서울 24905)

TOUR03

잠실역.롯데월드 (서울 24138)

301

341

342

345

360

2000-2

2415

3217

3313

3314

3315

3317

3411

3412

3414

4318

4319

7000

7001

7002

N13

8000

잠실역 (서울 24137)

1100

1700

2000

2000-1

2000-2

2415

7007

8001

9303

9303-1

잠실역.잠실대교남단 (서울 24002)

16

119

302

303

320

1112

1117

1650

1670

2311

2412

3318

5600

5700A

5700B

9403

P9243


R1309

R1310

R1312

R1801

R8141

R8147

R8153

잠실역.잠실대교남단 (서울 24001)

119

302

303

320

1112

1117

1650

2311

2412

5600

5700A

5700B

9403


R1309

R1310

R1312

R1801

R8141

R8147

R8153

잠실역 (서울 24133)

16

30-3

30-5

342

2000-2

2415

3216

3318

3319

3412

4318

잠실역 (서울 24998)

1670

1700

2000

2000-1

7007

9303

9303-1

잠실광역환승센터 (서울 24050)
해당 문서 참조

7. 기타[편집]

  • 잠실역 좌우 옆에 있는 성내역은 잠실나루역, 신천역은 잠실새내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두 역에 잠실이 붙다보니 잠실역과 혼동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편이다.

  • 뜬금없지만 잠실역 개찰구 근처엔 독도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정확히는 2호선 개찰구를 나와서 잠실광역환승센터로 가는 길목쪽에 독도 모형이 설치되어 있다.

  • 잠실역 지하상가, 롯데마트, 롯데월드몰 주변을 돌아다니다 누군가가 말을 건다면 사이비 종교 전도꾼일 확률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16]

  • 여기서 민방위훈련을 진행하게 될 경우 사람이 직접 모든 출입구 통로를 통제하기 때문에 민방위훈련이 끝나기 전까지 역 안으로 들어가거나 나갈 수 없다. 근데 관광객도 많을 텐데 쉽게 통제가 될까? 단, 롯데월드 연결 통로를 통해서 나갔다 들어갔다 할 수는 있다.

  • 각종 통근/통학 버스들의 하차 장소이기도 하다.

  • 두 노선이 교차하지 않고 접하는 환승역이다. 비슷한 사례로는 신길역, 도봉산역이 있다.

8. 사건사고[편집]

2022년 12월 29일 오전 5시 15분경 한 60대 남성이 자신의 몸에 불을 붙이는 분신 시도를 하다 중태에 빠졌다.

  자세한 내용은 잠실역 60대 남성 분신시도 사건 문서

의 번 문단을

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둘러보기[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을지로순환선

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신당 -

상왕십리 -

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잠실나루 -

잠실 -

잠실새내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홍대입구 -

신촌 -

이대 -

아현 -

충정로 -

시청

성수지선

성수 -

용답 -

신답 -

용두 -

신설동

신정지선

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까치산

서울 지하철 8호선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암사 -

천호 -

강동구청 -

몽촌토성 -

잠실 -

석촌 -

송파 -

가락시장 -

문정 -

장지 -

복정 -

남위례 -

산성 -

남한산성입구 -

단대오거리 -

신흥 -

수진 -

모란


[1] 이 역에서 잠실나루역 방향으로 가면 바로 지상이다. 다른 지하 2층 승강장역과 달리 얕은 편이며, 지하 1층 승강장역과 비슷한 깊이에 해당한다.[2] 환승 통로를 통한 횡단만 가능하다.[3] 강동구를 관통하는 철도의 흔적을 발견하다 [남부교외선] (2), 2009-05-05, 티스토리블로그.[4] 가장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계통은 인천 지하철 1호선 박촌발 계양행(2.5km) 이다.[5] 이 하중도를 매립하고 나온 지역이 바로 석촌호수이다.[6] 잠실대교 남단 삼거리~올림픽 회관 사거리를 잇는 신천동 주 도로. 이 길에 잠실 장미아파트의 유일한 출입구가 있고 잠실 시영(현 파크리오), 미성, 진주아파트(현재 재건축)도 출입구가 나 있다. 만약 이 길을 따라 8호선을 지었다면 해당 아파트 단지들에 사는 주민들은 공사 기간동안 통행에 매우 큰 불편을 겼었을 것이다.[7] 비슷한 시기 지하철 공사를 위해서 도로를 전면 통제한 사례가 존재하는데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모라역~주례역 구간이다. 당시 위에 지나가는 사상로가 왕복 4차로에 불과하여 가시설 공사를 진행하던 1993년 12월 24일부터 1995년 8월 31일까지 사상교차로~주례교차로 차선통제(1994년 9월 1일~1995년 5월 31일 도로 전면통제), 제거 및 노면복구를 위해 1996년 7월부터 1997년 6월까지 도로를 전면통제하고 공사한 적이 있다. 이 구간도 잠실 못지않은 연약지반이고 공사 도중 지반이 저절로 가라앉은 전적이 있으며 굴착했을 때 일반적인 모래도 아니고 진흙이 무더기로 나왔다고 한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