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ime 허브 AP모드 - Iptime heobeu APmodeu

�ȳ��ϼ���?

�Ͽ��ƺ��Դϴ�.

�̻���� �� ������ ������ Ŀ������ ������, ��Ż翡�� �� AP�� �������� ����, ���Ƶ��� IP time �����⸦ ���� ������ ���� �����Ͽ� ���� �־��µ���, �̻縦 �ͼ�, IP time �����⸦ �̹����� ���� ���� ����Ϸ���, ���� ������ ��带 �����Ϸ��� ������ �������� ������ �ϴµ�, �� ���� ���׿�.

PC�ϰ� �������� �����ϰ�, ����Ʈ���̸� ����, ��Ż� AP�� IP�� 192.168.35.1�� ������, �ش� IP�� ġ��, ������ ��Ż� AP�� �������������� �����׿�. T_T;

���ͳ��� �������� �� �ش� ���� �����ϴ� ����� ������ ����, �ٽ� �ǵ����� ��� (�����͸�� �������� ������ ��� ���� ���)�� ���ؼ��� ������ ���µ���.

�ƽô� �е��� �亯 �� ��Ź�帮�ڽ��ϴ�.

�����մϴ�.

�߽�) �̻�ͼ� ù �ָ��̶� ������ ���׿�... ���ʵ��� ������ �;��µ� ���� ������ ��ġ�ϰ�, �����ϴ��� ������ ������...T_T;

  ###############################################

��� ������Ʈ �մϴ�. vendetta �Բ��� �˷��ֽŴ�� IPtime �˻����� ���� ��ġ�Ͽ��� ã��,

�ۿ� �ִ� ���� ������ �����ϱ� ��ư(?)�� ������ ������ �� �־����ϴ�.

������ ��Ż� AP�� �����Ͽ� ���ӵ� IP �ּҷ� �� ������ �õ��غ��� ���� �ʴ�����. (���߿� ����, �ű� ǥ�ð� ���� �ʴ� ��ó�� ���Դϴ�.)

�ٸ� �е鵵 ���� �Ǽ̱� �ٶ��ϴ�.

vendetta�� �����մϴ�.^^

 ��õ:�̽��;ش������� �Խù��� �����մϴ�.


공유기 2대 이상을 사용하기 위해선 두번째 공유기부터는 공유기를 허브, AP모드로 설정 변경해줘야 됩니다

이유는 둘다 WAN으로 꼽게 되면 당연히 충돌이 발생하여 인터넷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단  한대는 인터넷 모뎀 - WAN으로 연결한 다음 아래 사진과 같이 설정 변경하여 허브, AP모드로 변경해주시면됩니다

아이피타임 설정 페이지 주소는 인터넷창에서 192.168.0.1로 들어가면 됩니다

내부 IP주소에서 끝자리를 119, 또는 200으로 변경해줍니다

1은 메인 공유기에서 사용해야할 주소이기때문에 무조건 변경해줘야합니다

변경후 적용후 시스템다시시작

DHCP 서버설정에서 중지 클릭 - 적용

기타 설정에서 UPNP설정 - 실행 되어있는데 클릭하여 중단으로 체크후 적용 눌러줍니다

이렇게 3가지 설정을 완료하면 이 공유기는 허브,AP모드가 되는것입니다

연결하는 방법은 기존 메인 공유기의 숫자 포트에 나온 랜선을 허브 모드의 공유기의 WAN이 아닌 숫자 1에다가 연결해주면 허브가 되는것이고 무선도 2대를 사용할수 있게됩니다

아이피 타임 공유기의 허브 모드 변경 하는 방법중 제일 쉬운 방법은 아이피타임에서 제공하는 아이피타임 도움해결사를 실행하게되면

자동으로 설정할수가 있습니다

이때는 메인공유기 숫자포트에 두번째공유기 숫자포트로 연결된 상태에서 아이피타임 도움해결사를 실행하면됩니다

아이피타임 검색기 다운로드하기

//iptime.com/iptime/?page_id=67&pageid=1&mod=document&keyword=&uid=7387

허브모드 공유기 접속방법입니다

A(공유기) >> B(PC)
PC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IP4 설정에 , 자동주소가 기본이구요
자동은 DHCP가 알아서 IP할당해주는것이고,
수동은 IP주소/서브넷마스크/게이트웨이 주소를 직접 넣은겁니다

A의 DHCP가 ON 상태에선,
IP4 설정에 자동/수동주소 모두 인터넷이 가능합니다
근데, DHCP가 OFF 상태에선,
PC에서 IP 할당을 못받아 인터넷이 안됩니다
또한 "공유기 접속"이 안됩니다
이유는? PC의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의 IP4 설정에 "자동주소"가 기본선택입니다
그걸 수동주소로 바꾸고, IP주소/서버넷 마스크/게이트웨이를 넣어주면 인터넷 됩니다
연결 기기들이 한개면 모르겠지만 불편하겠죠? 그래서 DHCP를 사용합니다

A(공유기) >> B(공유기_허브모드) >> C(PC)
보통 B의 DHCP를 OFF하라고 하는데요,
PC에서 자동주소설정이라 ,
B공유기로 접속이 안됩니다 ,하지만 A공유기론 접속이 됩니다
B로 접속하는 법은, 위에 말한것 처럼
PC에서 수동주소로 바꾼후 접속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B 공유기의 접속주소를 192.168.0.100정도로 바꿔주면
B로 접속시 192.168.0.100을 쳐서 접속가능하며, 192.168.0.1로 상단 공유기도 접속가능합니다
추가설정으로 ,
공유기 설정 > 내부 네트워크 설정의 "허브/AP모드 내부 게이트웨이"에 체크를 해주면
B공유기의 펌웨어 업데이트 가능 /로그기록에 시간이 표시가 됩니다
여기 체크하면 자동으로 DHCP OFF됩니다

대역이 다른 공유기 , 192.168.0.1과 192.168.55.1 등의 경우
접속 주소를 바꿀때 대역을 동일하게 맞춰야 합니다
192.168.55.1 >> 192.168.0.100

그리고,
B에 접속할 필요가 없다면,
IPTIME 공유기는 , WAN포트에서 선을 빼서 LAN포트에 꼽는것으로 허브사용 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