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신이 사쟈 하였더니 해석 - ilsin-i sajya hayeossdeoni haeseog

일신이 사쟈 하엿더니(미상)-문제 모음 20제(1차)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1 개

상품코드
1611402846

옵션옵션 전체 선택수량판매가
일신이 사쟈 하엿더니(미상)-문제 모음 20제(1차) 일신이 사쟈 하엿더니(미상)-문제 모음 20제(1차)선택 일신이 사쟈 하엿더니(미상)-문제 모음 20제(1차)수량 5,000원

총 금액 0원

찜하기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관련상품 0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이 작품은 백성들을 괴롭히는 관리들의 횡포를 이, 벼룩 같은 기생충의 괴롭힘에 비유하여 비판하고 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관련상품 0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사용후기 쓰기 새 창 더보기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관련상품 0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쓰기 새 창 더보기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관련상품 0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1 개요[편집]

일신이 사자 하였더니~는 조선시대의 사설시조입니다. 작가는 알 수 없습니다.

2 본문[편집]

일신이 사자 하였더니
일신이 사자 하였더니 물것들이 역겨워 못살겠다.

비파 같은 빈대 새끼, 사령 같은 등에, 어이 각다귀와 사마귀, 쎈 바퀴, 누룬 바퀴, 핏겨 같은 가랑니며, 보리알 같은 수퉁니며, 굶주린 이, 갓 깐 알에서 나온 이, 잔 벼룩, 왜 벼룩, 뛰는 놈 기는 놈에, 다리 기다란 모기, 부리 뾰족한 모기, 살찐 모기, 마른 모기, 그리마, 뾰록이 심한 당비루[1]에 더 어렵다.

그중에 차마 못 견딜 것은 오뉴월 복날에 쉬파린[2]가 하노라
— 작자 미상

어우...해충 콜랙션

3 해설[편집]

이 시조는...딱 봐도 탐관오리들 때문에 못살겠다고 한탄하는 조선 시대 사람들의 모습을 표현한 시조네요. 여기서 나온 해충들은 모두 백성들을 착취하는 온갖 부류들인 물것에 해당합니다.

이 시조에서 주목해야 되는 것은 내용보다는 표현법인데요. 이 시조는 초장, 중장에 형식이나 글자수의 제한이 없는 사설시조입니다. 따라서 보시다시피 중장 부분이 매우 긴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자는 중장 부분에서 해충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열거해 나가는 열거법을 사용했고, 점점 해충의 난이도(?)가 높아 지는 것을 보아 점층법을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 피부병
  2. 탐관오리

                                일신(一身)이 살자 하니 - 작자 미상

일신(一身-화자 자신)이 살자 하니 물것(부정적 의미, 무는 것들-이, 벼룩, 빈대, 등에, 모기 등)에 시달려 못 살겠다.(화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냄)

▷초장 : ‘물것’이 많아 견디기 힘듦.

피(皮)겨(피의 껍질,볏과에 속한 한해살이 풀) 같은 새끼 (작지만 물면 몹시 가려움) 보리알 가튼(직유) 살찐 이 굶주린 이 갓 깐 이(갓 알에서 나온 이) 잔(작은) 벼룩 굵은 벼룩 강벼룩(세차게 물어대는 벼룩의 한 가지) 왜(倭)벼록(일본 벼룩) 기는 놈 뛰는 놈에 비파(琵琶) 같은(직유, 과장) 빈대 새끼 사령(使令-옛 관청의 심부름꾼. 백성들에게 무섭게 굴었음. 등에의 모습이 사령의 차림새를 연상케 함) 같은 등에아비(등에는 여름에 소에게 붙어서 그 피를 빨아먹는 매미 비슷하게 생긴 곤충. 사나운 사령에 비유하여 ‘-아비'를 붙임) 각다귀(모기의 한 가지인데, 아주 큼) 사마귀바퀴 노란 바퀴 바구미(쌀벌레) 고자리(노린재의 애벌레. 오이, 참외, 호박 등의 해충) 부리 뾰족한 모기 다리 기다란 모기 살찐 모기 야윈 모기 그리마(다족류의 벌레) 뾰록이들이(무는 벌레) 주야(晝夜-늘, 항상)로 빈틈없이 물거니 쏘거니 빨거니 뜯거니 심(甚)한 당(唐)비루(피부병의 일종)가 (물것들)보다 어려우랴(설의법-심한 피부병인 당비루보다 물것들 때문에 못 살겠음을 강조)

▷중장 : 온갖 ‘물것’의 종류와 그로 인한 고통

그 중(中)에 차마 못 견딜 것은 오뉴월(五·六月) 복(伏)더위에 쉬파린(물면 가장 아픈 놈, 화자가 도저히 견딜 수 없는 놈, 더위도 참기 힘든데 쉬파리까지-설상가상)가 하노라.

▷종장 : 가장 견디기 힘든 오뉴월 복더위의 ‘쉬파리’

[핵심 정리]

*성격 : 비판적, 풍자적, 우의적, 비유적, 해학적, 해로운 여러 곤충들을 열거함

*특징 : 탐관오리를 ‘물것’에 비유하고 있다.

          장황한 열거를 사용하고 있다. 열거와 대구로 내용을 확장하고 있다.

*주제 : 가렴주구(苛斂誅求)를 일삼는 탐관오리에 대한 비판.

[이해와 감상]

  이 시는 백성들을 괴롭히는 지배층의 횡포를 우의적으로 풍자하고 있는 작품이다. ‘물것’은 사람들에게 달려들어 해를 끼치는 존재로, 여기에서는 탐관오리나 아전 등을 의미한다. 화자는 물것으로 인해 못살겠다고 하면서 중장에서 물것들의 종류를 수다스럽게 나열하고 있다. 크기와 모습, 종류별로 다른 물것들의 이름을 길게 엮어 내면서 피부병보다 심한 것이 물고 뜯는 물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고는 종장에서 물고 뜯는 것 외에도 오뉴월 더위에 귀찮게 몰려드는 쉬파리가 더욱 힘들다고 말한다.

[문제] <보기>를 참고하여 위 시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사설시조의 주된 미의식은 골계미(滑稽美)이다. 사설시조는 말을 엮어 내거나 점층이나 구체적인 묘사와 비유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웃음을 불러일으킨다. 위 시는 사람을 괴롭히는 ‘물것’이 많아서 살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사설시조이다. 비극적 상황을 고발하면서 이를 ‘물것’에 비유하고 있는데, ‘물것’들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수다스럽게 나열하여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 여기에서 ‘물것’은 ‘사람이나 동물의 살을 무는 벌레의 총칭’이라는 사전적 의미보다는 백성을 착취하는 온갖 부류들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① ‘심한 당비루’와 비교하여 ‘물것’으로 인한 참을 수 없는 고통을 강조하고 있다.

 ② 여러 ‘물것’들은 백성의 삶을 괴롭게 만드는 탐관오리를 의미한다고 볼 수도 있다.

 ③ 중장에서는 수다스러운 열거를 통해 ‘물것’들의 종류를 제시하여 웃음을 자아내고 있다.

 ④ 대상에 대한 묘사나 비유적 수법을 통해 ‘물것’들을 표현함으로써 골계미를 느끼게 하고 있다.

 ⑤ ‘밤낮으로’ 물어뜯는 여러 ‘물것’들로 인해 화자는 현실을 벗어나 다른 공간으로 가고자 하고 있다.

2. <보기>는 위 시와 관련된 소논문의 일부이다. <보기>를 바탕으로 위 시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위 시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검토해 보면 다음의 세 가지 방향으로 정리된다. 첫째, 일상생활에서 사람을 괴롭히는 여러 해충들을 나열하고 그 중 가장 지긋지긋한 쉬파리를 지적했다고 보는 견해. 둘째, ‘물것’에 해당하는 여러 해충들을 나열하여 그것을 통해 민중들을 수탈하던 지배층을 풍자했다고 보는 견해. 셋째, 일상생활이나 독서 체험에서 형성된 관념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삶의 자세를 갖추지 못한 모리배, 아첨꾼, 소인배들을 풍자하고 배척했다고 보는 견해.

 ① 첫째 해석의 근거로는 중장의 여러 해충들에 대해서는 ‘어렵구나’라고 표현하고, 종장의 쉬파리에 대해서는 ‘그 중에 차마 못 견딜 것은’이라고 표현한 점을 제시할 수 있겠군.

 ② 둘째 해석에 대해서는 중장의 ‘사령(使令) 같은 등에아비’가 결정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 같군.

 ③ 셋째 해석을 따른다면 일상생활 속에 통용되었던 쉬파리에 관한 속담이나 한문학의 전통 속에 표현된 쉬파리의 특징 등을 찾아볼 필요가 있겠군.

 ④ 둘째 해석의 경우에는 ‘무는 주체(물것)’에 대한 ‘물리는 대상’의 집단적 저항 의지에 초점을 맞추었을 것 같군.

 ⑤ 둘째 해석과 셋째 해석은 첫째 해석을 출발점으로 삼아 이를 발전, 심화시킨 해석이라고 볼 수 있겠군.

<정답> 1⑤-다른 공간으로 가고자하는 화자의 모습은 시 어디에도 없다.

           2④-물리는 대상, 즉 일반 백성들의 집단적 저항 의지는 작품에 드러나지 않는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