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연평균 기온 - hangug yeonpyeong-gyun gion

우리나라 기후변화

우리나라의 계절변화

우리나라는 지난 109년간 매 10년당 0.20℃씩 연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런 꾸준한 기온 상승 때문에 계절과 절기에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봄은 좀 더 따뜻해졌고, 여름은 일찍 시작되어 20일 길어졌습니다.
가장 짧은 계절이 된 가을은 9일 늦게 시작되고 덜 추워진 겨울은 22일 짧아졌습니다.

과거 30년과 지난 30년, 최근 30년, 최근 10년의 계절 시작일 변화

* 출처 :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 보고서

우리나라 절기의 변화

평균개화일이 4월 10일이던 벚꽃은 2021년 3월 24일, 99년 만에 가장 일찍 개화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선조들의 농사의 기준이 되던 24절기는 모든 절기에서 기온이 상승했고, 가장 추운 절기인 ‘대한’도 더 이상 영하의 기온을 나타내지 않게 되었습니다.

최근 30년은 과거 30년에 비해 모든 절기에서 기온이 상승했습니다.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경칩’의 평균 기온은 2.1℃(3.3→5.4℃) 상승했고, 여름의 시작을 나타내는 ‘입하’의 기온은 1.9℃(7.9→11.3℃) 상승했습니다.
밤이 가장 긴 ‘동지’의 기온은 무려 4.1℃가 상승해 과거 동지의 기온이 나타나는 시기는 최근에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24절기 : 일 년에 걸친 태양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천문학적 계절

과거 30년과 최근 30년의 절기변화

* 출처 :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 보고서

국내 평균기온 변화율 '22.07. 최신정보 수정 / '23.08. 다음 업데이트 예정


1973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 지점별 평균기온 변화율 분포도를 나타낸 것으로, 경기 남부, 강원 영서, 충청 내륙, 경북 남부를 중심으로 기온 증가율이 컸다. 지점별 평균기온 변화율을 보면, 원주 0.6(℃/10yr), 청주 0.55(℃/10yr), 수원 0.47(℃/10yr) 순으로 높았고, 해남, 고흥이 0.09(℃/10yr), 문경 0.01(℃/10yr) 순으로 가장 낮았다. ※ 국내 평균기온 변화율 계산 : 47개 지점(전국 45개 지점 + 제주, 서귀포)별 연간 변화율(℃/연)에서 10년을 곱해서 내삽
※ 45개 지점 : 전국 통계를 대표하는 지점(1973~2021)

 국립기상과학원에서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에서는 우리나라의 106년(1912~2017년)동안의 기후 변화 추세를 분석하였습니다.

⚬ 100년 이상 장기간 기상관측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6개 기상관측소의 일 시간간격 자료를 사용하였습니다.(강릉,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목포)

⚬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6년(1912~2017) 동안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13.2℃(연평균 최고기온은 17.5℃, 최저기온은 8.9℃), 연 강수량은 1237.4mm , 여름은 19일 길어졌고 겨울은 18일 짧아졌습니다.

⚬ 또한, 최근 30년 기온은 20세기 초(1912~1941)보다 1.4℃ 상승,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중 최저기온의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최근 30년 강수량은 20세기 초보다 124mm 증가하였으나 변동성이 매우 컸습니다.

⚬ 한편, 최근 10년 동안은 서리일수, 한랭일이 많아지며 강한 강수가 감소하는 등 최근 30년 동안과 상반된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한반도 기후변화 추세

만족도평가

그래프/통계표

○ 그래프

- 계절별 기온 변화 현황

○ 통계표

- 기온 추이

○ 통계표 목록

  • 기본통계표: 기온 추이 (Y, 1973 ~ 2021)

의미분석

○ 지표설명

  • [지표설명]

    ■ 기온 개념

     ° 기온:  대기의 온도

     ° 국제적으로는 지면으로부터 1.25∼2.0 m의 높이에서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1.5 m 높이기준으로하고 있음

    ■ 기온 통계

     °   전국평균은 1973년 이후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연속관측을 수행한 62개 지점의 평균값을 사용

     °   계절구분은 봄(3-5월), 여름(6-8월), 가을(9-11월), 겨울(당해년12-다음해1,2월)로 하였음

    ■ 의의 및 활용도

     °   이 통계는 전국평균 데이터이며, 전국평균값은 전문자료로 사용하기보다는 참고용으로 사용하는 값임

     °   10년간의 계절별 기온 변화 현황을 통해 기후변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음 

○ 지표해석

  •  2021 평균기온 현황 및 연별·계절별 전국 평균기온 변화 추이

    ○ 연 평균기온
    - 2021년 전국 평균기온은 13.3℃로 최근 10년(2012~2021년) 평균보다 0.4℃ 높았고, 평년(1991~2020년)보다 0.8℃ 높았다.
    - 이는 1973년 이래(49년간) 최고 2위에 해당하는 값이다.
    ○ 계절 평균기온
    - 2021년 계절별 전국 평균기온은 봄, 여름, 가을은 평년보다 높았고 겨울은 평년보다 낮았다.(평년편차 각각 +0.9, +0.5, +0.8, -0.2℃)
    - 봄, 여름, 가을, 겨울 각각 1973년 이래 최고 5위, 최고 11위, 최고 5위, 최고 23위를 기록했다.

    < 1 - 연별·계절별 평균기온() >  

    기간

    2021

    최근10
    (2012~2021)

    최근10년편차

    평년
    (1991~2020)

    평년편차

    13.3  

    12.9

    +0.4

    12.5

    +0.8           

    12.8

    12.5

    +0.3

    11.9           

    +0.9

    여름

    24.2           

    24.3

    -0.1

    23.7

    +0.5

    가을

    14.9

    14.4

    +0.5

    14.1

    +0.8

    겨울

     0.3          

    0.6           

    -0.3

    0.5           

     -0.2

    <  2 - 연별·계절별 평균기온 최고 5순위 >

    순위

    여름

    가을

    겨울

    연 합계

    년도

    년도

    년도

    년도

    년도

    1

    1998

    13.2

    2018

    25.3

    1975

     15.4            

    2019

       2.8

    2016

    13.4

    2

    2016

    13.0

    2013

    25.2 

    2019

    15.2 

    2006

    2.0 

    2021

    13.3

    3

    2018

    12.9

    1994

    25.1

    1998

    15.1

    1978

    2.0 

    2019

    13.3

    4

    2014

    12.9

    2010

    24.7

    2011

    15.0

    1997

    1.6

    1998

    13.2

    5

    2021

    12.8

     1978

    24.7

    2021

    14.9

     1988

    1.6

    2015

    13.1

○ 유의사항

  • o 이 통계는 전국평균 데이터로, 전국평균값은 참고용으로 사용하는 값
    o 기후평년값과 해당연도의 비교를 위하여 평년값 대표지점 62개소 기준 전국평균
    - 기후평년값: 30년을 누년평균한 값, 평년기간: 1991~2020년 (2021년 공표)

지표정보

○ 작성방법

  • 전국 평균 기온(년별, 계절별)
    : 지점별 해당기간의 통계값 산출 후 평균하여 작성

○ 자료출처

  • 출처 : 기상청 국가기후자료관리시스템
  • 통계생산기관 : 기상청 국가기후데이터센터
  • 통계주기 : 매년 (계절별)

정책정보

○ 주요정책자료

정책자료 파일목록

번호제목등록일
첨부된 정책자료가 없습니다.

○ 관련 법령

  • 기상법

○ 관련사이트

의견 및 질문

  • 이용가이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OPEN API

(우) 35208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둔산동, 정부청사3동) 고객센터 02-2012-9114, 국번없이 110
Copyright 2018 Statistics KOREA Government Official Work Conference. All Rights Reserved.

몇도부터 폭염?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5~9월에[21] 일 체감온도 최고 33℃ 이상[22][23]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주의보를, 일 최고 체감온도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경보를 발령한다.

기후가 뭐야?

- 기후는 장기간(대개 30년)에 걸친 날씨(기상)의 평균이나 변동의 특성을 말한다. 세계기상기후(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정한 평균 산출기간은 30년이다.

한반도의 기후는 어떻게 변할까?

최근 10년 동안은 서리일수, 한랭일이 많아지며, 강한 강수가 감소하는 등 최근 30년 동안과 상반된 현상이 나타남. 여름은 19일 길어졌고 겨울은 18일 짧아졌음. 지난 106년간 우리나라 연평균기온 변화량은 +0.18℃/10년으로 상승.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