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핑 개선 - haeoe ping gaeseon

By in IT Tech Network July 16, 2018

(Last Updated On: July 15, 2018)

해외인터넷의 핑을 최대한 줄여보자

이전 포스트엔 핑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럼 핑이 늘어나는 요인부터 어떻게 줄여볼 수 있을지 서술해보겠다.

핑이 늘어나는 요인

핑이 늘어나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다.

  1. 물리적 연결 거리가 늘어나는 경우
  2. 패킷을 처리해 줄 각 네트워크 기기들의 처리시간이 그렇게 빠르지 않는경우, 혹은 패킷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 패킷을 검열하는 보안장비 (방화벽)가 있는 경우
  3. 보내는 패킷의 양이 많은 경우
  4. 통신 선의 트래픽 부하량이 많은 경우 : 만약 이 경우가 발생하면 QoS 라는 기술을 사용해서 모든 트래픽이 원할하게 처리가 되어야한다.
  5. 송신자 및 수신자 컴퓨터의 처리가 느린경우
  6. 네트워크 장비가 손상된 경우

어떻게 핑을 줄여야 할까?

핑을 줄이는 방법 중, 개인 이용자의 우리는 ISP 에서 제공하는 대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우리가 라우팅라우터 간의 경로를 선택하는 행위를 말한다.을 바꿔달라니 어떻니는 비즈니스 레벨이기에 그냥 주는대로 써야한다.

ISP 에서 제공하는 인터넷은 역시나 핑을 줄일 수도 없고, 어떤 것도 하지 못한다. 간혹 아파트나, 주거단지 내 회선 부하가 심해서 로컬 단위부터 심한 핑폭 을 느낄 수 있기도 하다. 특히 케이블방송에서 제공하는 인터넷이 이 현상이 많은 듯 하다.

인터넷 통신사에 대해

우리나라에 태평양 국제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ISP는 KT, LG, SKT, KINX 뿐 밖에 없다시피하다. 그럼 위 통신사 말고 다른 회사는 해외와의 통신을 어떻게 하냐? 라면, 국제 케이블에 타사의 고객들도 같이 동승시켜 주는 것이다. 규모가 작은 통신 회사는 아무래도 국제케이블 설비, 참여 같은 일은 조금 무리일 것이다. 이것은 아무래도 국제트래픽 이용량의 제약이 있을 것이다. 주인은 다른 사람이니까. 심지어 인터넷을 차별화하는 망 중립성과도 조금 연관된다.

방법이 존재하나?

해답은 가상 사설 네트워크 (VPN, Virtual Personal Network) 이다. VPN은 말 그대로 가상의 사설망을 구현해주는 것으로. 회사의 인트라넷에 연결하는 목적으로도 쓰고, VPN은 라우터가 패킷을 대신 전달해주는 역할도 한다. VPN은 VPN서버와 클라이언트간 패킷 암호화 된 통신도 가능해 보안 목적으로도 쓰인다.

VPN 으로 어떻게 하나?

VPN은 패킷을 대신 전달해준다. 상용 VPN 서버는 우리가 가려는 목적지 (서버) 까지 굉장히 최적의 경로를 제공해 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
각 인터넷 업체마다, IP 주소 마다 가지는 경로는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최적의 경로로 탑승하는지는 직접 확인해 비교해 볼 수 밖에없다.
그런데,  IP 주소 마다 가지는 경로는 모두 다르다고 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원할하고 빠른 경로를 가지는 VPN 서버도 있다는 뜻이다.
이 서버들에게 패킷을 대신 전해달라고 하면, 핑이 높은 구간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VPN 종류 및 어디서?

VPN을 제공하는 업체도 많고, 종류도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PPTP, L2TP, OpenVPN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앞의 PPTP, L2TP 는 조금 까다롭기 때문에흔한 소프트웨어 방식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제작된 OpenVPN 을 기반으로 주로 이용한다. 각 회사별로 자체 제작한 VPN 프로그램도 있다.

VPN을 제공하는 유명한 업체들
  • 미꾸라지 VPN (한국)
  • ExpressVPN
  • NordVPN

등이 있다. 아니 무수히 많이 있다.

무료로 VPN 을 제공해주는 곳도 있다

Public VPN 이라고 불리는데, 주로 개인이나 비영리 단체에서 자유로운 인터넷 기여를 위해, 서버의 자원을 대여해주는것으로. VPN Gate 등이 있다.

서버를 임대해 개인 VPN 서버를 구축

하는 방법도 있다. 직접 관리해야하고, 서버 구축이 힘들지만, IP 주소를 독점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가격도 일정사용량이 넘는다면 VPN 업체보다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Tags: RTT, VPN, 핑, 핑 줄이기, 해외서버, 해외인터넷

Post navigation

와우인벤에 올렸던거 담아옴 ㅇㅇ...

예. 정확히는 제가 영국에서 몇년간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익힌 핑을 줄이는 노하우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가급적이면 GM님은 꼭 이 글을 공지로 올려주셨으면 합니다. 아마 이 글을 전부 따라하신다고 가정하시면 적어도 30~40%대의 핑 향상을 볼 수 있으리라 봅니다. 현재 미국 뉴올리언스와 독일 프랑크후르트에서 한국섭을 하는 제 친구들한테도 추천해줘서 약 50% 정도의 핑 감소효과를 보았습니다.

아무튼 본론으로 들어가서 거진 다들 불성 말기를 기준으로 25인 인던 면역이 되셨을 겁니다. 왜냐면 정말 무지막지하게 튕기니까요(...) 저도 사실 불성 때까지는 500~600ms대 핑에도 어느정도 만족하면서 살았는데 이게 낙스에 와서 좀 불안해지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울두아르에서는 25인의 잦음 튕김이 심해지고 십자군에서는 아예 25인 면역이 되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블리자드 코리아 측은 당시 해저 케이블망의 문제로 일축했지만 아무래도 서버영향을 많이 타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죠. 아무튼 이 당시에는 현실크리도 겹치고 울두아르 막바지에 튕김현상때문에 너무나 스트레스를 받아서 거진 1년 가까이 와우를 접었었습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대격변에 들어서면서 복귀할 즈음부터 본격적으로 핑을 깍아보려고 가능한 모든 수단을 모색해봤습니다. 랜카드 Checksum offload 및 전이중 세팅같은 기초적인 설정부터 Fasterping같은 프로그램 세팅, Xeno Killer pro라는 괴팍한 10만원대 랜카드에 터널 프로토콜 유료 프록시 서버까지 거진 해볼만한 건 다 해봤다고 봅니다.

결론적으로 핑을 줄이는 방법과 효용성에 대해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패스타~핑과 같은 프로그램: 일절 속도증가 관련 프로그램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해외유저분들께 큰 효과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이 프로그램이 레드핑이 옐로핑으로 변한 기준선이였습니다. 개인적으로 근례의 패스타핑보다는 Leatrix Latency Fix 1.23.zip 파일을 추천합니다. 원리는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서 Tcp에서의 지연시간을 최소로 줄이는건데 가장 기초적인 원클릭으로 빠른 속도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랜카드 세팅 수정: XP와 win7의 차이는 조금 있지만 결론적으로 제어판->시스템->장치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카드란의 속성->고급탭을 클릭하시면 나오는 설정을 건드리는 겁니다. Checksum Offload large send offload 항목을 비활성화시키면 어느정도 팅김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링크 속도 및 이중성에서 1 Gbps 전이중(혹은 Full duplex)을 설정하시면 최대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원리입니다

. 어느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이 항목은 지연시간 감소보다는 안정화에 더 무게가 실리는 방법입니다.

3. 외장 랜카드 사용: 음, 일단 간단히 말해서 효과는 있습니다. 하지만 들인 돈에 비해서 극적인 효과가 나오지는 않습니다. 다만 안정성 측면에서는 거진 튕김현상을 절반 이하로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단 Xeno Killer pro 랜카드를 닷새 정도 사용해보았는데 세팅이 자꾸 와우와 충돌하는 바람에 환불을 받고 안정성이 보증된 Intel CT network adapter(EXPI9301CT)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확실히 내장랜에 비해서 안정성 측면에서는 효과가 매우 좋습니다. 다만 이는 어느정도의 가격대를 가지고 있는 외장 랜카드에 한정됩니다.

4. 유료 터널 프로토콜 프록시 서비스: 랜카드에 비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극적인 효과를 볼 수 있고 거진 북미/유럽섭 투기장&레이드 인원의 상당수가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북미의 유명한 몇몇 공대들은 Lowerping의 스폰서를 받고 게임에 임하고 있죠. 1,2,3번과 비교해서 2배 이상의 효과를 보신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매우 여러가지 서비스가 있는데 유명한 서비스로는 Lowerping, Smoothping, WowTunnel, Battleping 정도가 있으며 저 같은 경우는 테스트를 위해서 Lagless proxy, Proxy4game, GameTune, DMZ.My, Ping2pwn, GameHub, Gamepath, Proxy4wow, Pingboss, WTfast까지 사용을 해봤습니다. 참고로 위에 언급된 모든 서비스는 며칠 간 무료 혹은 30분마다 끊기는 무료 형식으로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해외에서 한국서버를 하시는 분들께는 Smoothping의 Singapore(이제는 수정되어서 Asia) 서버를 강추합니다. 현재 제가 쓰는 서버기도 하고 네파리안 레이드 기준으로 600ms가 넘어가던 핑을 270~320ms대로 깍아버린 괴물입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북미섭을 플레이하시는 경우는 Lowerping을 추천하고요. 실제로 현재 한국에서 북미섭을 플레이하는 북미섭 3,4,6시즌 대표검투사가 쓰는 프로그램입니다.

5. Putty와 Proxifier, Sockscap 혹은 Freecap: 주로 4번의 서비스에서도 쓰이는 프로그램들이지만 본인이 직접 쾌적한 무료 프록시 서버를 찾아서 와우를 하려고 하면 꼭 필수인 프로그램이기도 합니다. 다만...무료 프록시는 역시 캐시 서버에 가까운지라 정신건강상 게임을 하는데는 심각한 비추를 드립니다. 차라리 이걸 개인이 굴릴 바에는 그냥 1,2번을 깔고 와우를 돌리는 게 심히 건강에 이롭습니다.

아무튼 이상 핑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만한 자료를 쭉 올려봤습니다. 사실 내용이 너무 많고 공개글은 적기가 좀 꺼려했었는데 저와 친구들이 이용하는 Smoothping의 싱가포르 서버가 저조한 피드백으로 문을 닫길 위기에 처해서 장문의 글을 끄적여봅니다 => 현재 이 서버는 포럼 분들의 많은 애용 덕에 기존 방침이 바뀌어서 서버가 확장되어 asia 서버로 새 설비가 들어왔습니다.

개인적으로 1,2번 혹은 3번까지 다 이행하신 분들 같은 경우는 해외에서 한국섭을 플레이하시는 분은 Smoothping을, 한국에서 북미섭을 플레이하시는 분은 Lowerping을 추천드립니다. 얼핏 광고글로 보일수도 있는데 ㅡ_ㅡ; 뭐 일단 테스트 해보시면 저처럼 신세계가 보이실 겁니다. 해보시고 핑 감소가 어느정도 됐는지 피드백을 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저도 제가 말로니악 비전 폭풍을 0틱 차단할 수 있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P.S: 여담으로 사는 지역과 tracert 로고를 남겨주시면 좀 더 자세한 조언을 드릴 수 있으니 속도향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시거나 문제점이 발생하시는 분은 추가 덧글 부탁드립니다. Tracert 로고는 만약 4번의 서비스를 테스트하는 목적이라면 해당 서비스 서버의 tracert를 주시고 그 외의 경우는 kr.logon.worldofwarcraft.com의 tracert를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racert 하는 법: 시작->실행->cmd->도스창에서 tracert xx.xxx.xx.x >c:tracert.txt 를 입력하시면 C드라이버에 Tracert.txt라는 파일이 생성됩니다. xx.xxx.xx.x는 위에 말씀드렸듯이 테스트한 프록시 서버 아이피 주소 혹은 kr.logon.worldofwarcraft.com을 적으시면 됩니다.

11. 2. 16 오전 8:54 (KST)

유용한 팁이라 담아왔어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