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장례식 절차 - gidoggyo janglyesig jeolcha

�⵶����� ������ ������ ��ȸ�� � �ڼ��� ������ ������ �غ��ؾ� �ұ�. ��ȸ�� ��ʽ��� ���� ���������� ����� ������ �ϳ����� ��ڽð� �ص���� �Ѵ�.

��ȸ �ȿ� �������ȸ�� �����϶�

������ȸ�� ������� �ο� ������ ū ������ ����. ������ ���� ��ȸ�� ������ �ο����� ����� ����ȸ�� �����ؾ� �Ѵ�. �غ�������δ� �ൿ��ħ�� ���� �Ŵ��� �ۼ�, ������ ���� �� �, �� ��ȸ�� ������ ��ʿ�ǰ(����) ���� ���̴�. �̸� ������ �غ��ؾ� �Ѵ�.

��� �߻��� �ʵ� ��ġ���� �ϰ�(ȭ��, ����)�ñ��� �ܰ躰�� ���� �ൿ��ħ�� �� �Ŵ����� ����� Ȱ���ϴ� �͵� ����. �Ŵ��� ������ �ο� ����, ���� ����, ���� ����, ���ǻ��� ����, ���κ� �ൿ��ħ(������, ���Ŀ� ����, ������, ������, ��ȭ�� ���� ��, �̵��� ����ũ �� �غ��ǰ�� �� ��� ���� �� ����) ���� ���̴�.

���ڰ� �����߾�ħ�ʱ�ȸ �θ��� ���� ��� ��ʻ翪�� ��ȹ�ϸ鼭 ���忡�� ������ ���� ������ �������ȸ�� �����ؾ� �Ѵٴ� ���̴�. ���������� ü������ ������ �������� �� ū ���θ� �޴´�. �� �̸� ���� ���� �ʴ� �������� �������� �˰� �ϰ� �����ν� ���� ������ ��Ⱑ �Ǵ� ��츦 ���� �ô�.

��� ����ʼҸ������롯�� 30�������� ������ ��߰�, �� ���� ������ �DZ� ���� �����ϱ⵵ �ߴ�. �̷��� �غ��� �⵶����� �����̾߸��� ���� ������ �ְ����̶�� �Ǵܵȴ�.

���� ������ ����ȸ�� �����ϰ� ��ʽĿ� �ʿ��� ��ǰ���� �غ��� �������� ��ʽ��� �� �� �ֵ��� �ؾ� �Ѵ�. ��ȸ ���� �� ����, �ȳ���, ���� CD�÷��̾� ���� �⺻������ �غ��ϰ� �־�� �Ѵ�. ��ʰ� �߻��ϸ� �̸� ��ҿ� ��ġ�ϰ� ��������� �������� ��� ������ �����ؾ� �Ѵ�. �м����̰� �������� ������ ��ǥ�� �ƴ϶� ���忡���� ������ ���� �� �⵶�� ��ʻ翪�� ü�������� �����ؾ� �Ѵ�.

���ڴ� �⵶�� ��ʹ�ȭ�� ������ ������ �����ϰ��� ������(christian-fci.kr/)�� �����ϰ� Ȱ���� �����ߴ�. ���� ���� �� ���ĸ� �ʿ��� �ùٸ� �⵶����� ��ȭ���ĸ� ���� ���̳��� ���� ��� �غ���� ��������� ��� ������ �ڼ��� ���� ���� �ϳ��Բ��� ����� �帮�⸦ �ҿ��Ѵ�.

�������� ��� ���� ���� ���

����, �Ƴ�, �ڳ���� ��� ��ʸ� ġ�� ������ �Բ� �����ϰ� �����ϵ��� ���;� �Ѵ�. ������ ���� �������� �ž� ���¿� ���� ��������� ���踦 �����ؾ� �Ѵ�. ������ ������ �޶� ��� ������ ȥ�������� �� ���� �ִ�. �׷��� �Ǹ� ������ ���� ���� ��ó�� �����.

���� ���ǵ��� ���� �⵶���� ��� ������ ������ ������ ���ذ� �ǰ�, ��ȭ�� �������� �ۿ��� �� �ֱ⿡ ������ ��ƻ��� �žӻ�Ȱ�� �ߴ��� ������ ���� �������� �ǰ��� �켱���ؾ� �Ѵ�. ������ �žӻ�Ȱ�� ���ߴٸ� �������� ������ ������ ��� ��ü�� ��ȸ�� ������ ���� �ִ�. ������ ��ƻ��� �žӸ� ���� ��쳪 �ҽ��ڿ����� �������� ������ ��ȸ�� �⵶����ʸ� ��û�� ��� ���質 ���α⵵ ������ ������ ���� �ִ�.

���� �߿��� ���� ��ʰ� �߻��ߴٴ� ������ �ް� �Ǹ� �־߸� �����ϰ� �غ�� ��ǰ ���� ���� �������� �ٷ� �޷����� �Ѵٴ� ���̴�.

���� ���� �� ��� ��� ���� ������ ���� ���忡 �����ϸ� ������ ��ȸ �������ӿ��� �ұ��ϰ� �⵶����ʷ� �����ϱⰡ ����� ���� �ִ�. ���� ��ȸ�� �� ��ʻ翪 ����ڴ� �ð��� ���ֹ��� �ʰ� �ִܽð� �� ���忡 ������ �⵶����ʷ� �� ���� �Ǹ��ؾ� �Ѵ�.

�̶� �繫���� ����� �µ��� �����鿡�� ������ �� �� �ִٴ� ���� �����ؾ� �Ѵ�. �츮�� Ȳ���� �������� �׸����� �ȿ��� �����ϰ� �Բ� �� �� �ƴ� �ڰ� �ž� �Ѵ�. ����ſ��ϴ� �ڵ�� �Բ� ��ſ��ϰ� ��� �ڵ�� �Բ� ���.��(�� 12:15)

������ ��� (�⵶����ʹ�ȭ������ ��ǥ)

기독교 장례 절차와 예배

기독교 장례 절차는 일반 절차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향을 피우거나 절을 하는 방식을 취하지 않고 목례와 예배로 대신합니다.

임종 예배

임종예배는 성도가 숨을 거둔 직후 드리는 예배입니다. 일반적으로 드리지 않는 교회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성도님이 돌아가셨다는 전화를 받으면 담당 교역자는 곧바로 가서 임종 예배를 드립니다. 하지만 현대는 곧바로 병원 영안실로 옮겨지기 때문에 드리지 않습니다.


입관 예배

입관 예배부터는 정식적인 기독교 예배 형식을 취합니다. 입관은 대개 장례식장이 차려진 다음날 드립니다. 즉 고인이 숨을 거두고 하루가 지나 드리는 예배입니다. 기본적으로 입관 직전에 예배를 드리고 예배를 드리지만, 요즘은 입관을 장례사에 의해서 주도되기 때문에 입관 예배는 입관을 마친 후에 장례식장에 올라와 드리게 됩니다.

  • 입관예배 기도문


발인 예배

발인은 한국은 3일장이기 때문에 돌아기신 지 3일째가 되는 날입니다. 장지로 떠나기 전 영안실에서 고인의 시신을 모시과 와서 장례 차에 싣기 전에 드립니다. 


하관 예배

엄밀하게 화장이 일반화된 현대에는 하관이란 의미는 맞지 않습니다. 하관은 무덤을 파서 관을 무덤 안에 내려놓은 다음에 드립니다. 하지만 요즘은 화장에 들어가기 직전에 간략하게 드리는 것을 하관예배입니다. 화장터마다 약간씩 예가 드리기 때문에 예식 없이 목회자가 기도만 하는 것으로 마치는 곳도 많습니다.

  • 하관예배 기도문


위로 예배

요즘 교회에는 위로 예배를 잘 드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장례를 다 마친 후에 고인의 집에 들어가 유족들과 함께 부활의 소망을 가지고 살아가도록 위로하는 예배입니다. 최근에는 장례 절차가 완전히 마무리 된 후에 며칠 후에 드리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문상절차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1.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문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 둔다.
  2.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3. 분향 및 헌화 방법은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는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친다.
    • 선향(막대향)일 경우 하나나 둘을 집어 촛불에 불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든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 절대 입으로 불면 안 된다. 다음으로 두손으로 공손히 향로에 꽂는데 선향은 하나로 충분하나 여러 개일 경우 반드시 하나씩 꽂아야 한다.
    • 헌화를 할 때는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가볍게 잡고 왼손 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들어 두 손으로 공손히 꽃 봉우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게 하여 재단위에 헌화 한 뒤 잠깐 묵념 및 기도를 한다.
  4. 영좌 앞에 일어서서 잠깐 묵념 또는 두 번 절한다.
  5. 영좌에서 물러나 상주와 맞절을 한다.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는 경우는 정중히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해도 된다.
  6.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주에게 문상 인사말을 건네는데 이때는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하되 고인과 관련 된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은 좋지 않다.
  7. 문상이 끝나고 물러나올 때에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이다.

문상시 위로의 인사말

  • 문상을 가서 어떤 위로의 말을 해야 할지 몰라 망설인다. 실제 조문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관계에 따라 다양하다.
  • 보통은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가 좋다.
  • 상주는 상중에는 항상 죄인이므로 “고맙습니다”,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고 문상 온 사람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조문예절

기독교식

  •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음 물러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후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천주교식

  •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을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다음 준비된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끈다.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는다.)
  • 한쪽 무릎을 끓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 걸음 뒤로 물러서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향나무의 가루 향으로 만들어진 향은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어서 오른손을 왼손으로 받치고 향로(향불)에 공손히 넣는다.

불교식(유교식포함)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한 다음, 영정 앞에 무릎을 끓고 앉아 준비된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끄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걸음 뒤로 물러나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최근에는 문상객 위주가 아닌 상가 댁 위주의 문상예절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가의 상황에 맞는 문상예절을 하여야 한다.

현대상복으로 표시

남자는 검은 양복, 여자는 흰색이나 검은색 치마저고리 및 검은색 양장을 착용 후 입관이 끝나면 완장 및 리본으로 상주임을 표시하고 있다.

공수법

절을 할 때나 예의를 표할 때 평상시는 남자는 왼손이 위이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간다. 그러나 흉사에는 평상시와 반대로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고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간다.

※ 산 사람에게 한번, 죽은 사람에게 남자는 재배라 하여 두 번 절한다. 여자는 사배라 하여 네 번 절 하는데 그 이유는 여자는 음이므로 양인 남자의 갑절 수로 절을 한다. 음양의 원리에 의해 양의 수는1, 음의 수는 2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현대에는 남녀공통으로 재배로 바뀌는 경향이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