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영노래방 에코 조절 - geum-yeongnolaebang eko jojeol

CONTACT

서울

  • 주소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31, (한강로3가) KY빌딩
  • Tel. 02-6390-2550
  • Fax. 02-6390-2554

부산

  • 주소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산단5로 36-18 [달산리](46027)
  • Tel. 051-744-7808
  • Fax. 051-744-7809

INFO

  • 대표이사 전재유
  • 법인명 (주)금영엔터테인먼트
  • 사업자등록번호 221-88-00319

Copyright ⓒ 2022 금영엔터테인먼트 CO.,LTD. All Right Reserved.

유료곡 등록문의

  • Tel. 010-6249-2550

AS및 신곡제품문의

  • Tel. 1644-3360

  • 월~금 : 오전 9시~오후 6시
  • 점심 : 오후 12:00~오후 1:00
  • 토, 일, 공휴일 휴무

광고 / 제휴문의

Social Media Links

KR100795409B1 -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KR100795409B1 KR100795409B1 KR1020050066132A KR20050066132A KR100795409B1 KR 100795409 B1 KR100795409 B1 KR 100795409B1 KR 1020050066132 A KR1020050066132 A KR 1020050066132A KR 20050066132 A KR20050066132 A KR 20050066132A KR 100795409 B1 KR100795409 B1 KR 100795409B1AuthorityKRSouth KoreaPrior art keywordsechoamplifierlevelsignalcyclePrior art date2005-07-21Application numberKR1020050066132A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673A (koInventor송민자Original Assignee주식회사 성우음향정보통신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2005-07-21Filing date2005-07-21Publication date2008-01-17 2005-07-21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음향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음향정보통신 2005-07-21 Priority to KR102005006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409B1/ko 2007-01-25 Publication of KR20070011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673A/ko 2008-01-17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2008-01-17 Publication of KR10079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409B1/ko

Links

  • Espacenet
  • Global Dossier
  • Discuss
  • 238000002592 echocardiograph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702 transmitter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91Means for obtaining special acoustic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45Ensemble, i.e. adding one or more voices, also instrumental voices
    • G10H2210/261Duet, i.e. automatic generation of a second voice, descant or counter melody, e.g. of a second harmonically interdependent voice by a single voice harmonizer or automatic composition algorithm, e.g. for fugue, canon or round composition, which may be substantially independent in contour and rhyth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65Acoustic effect simulation, i.e. volume, spatial, resonance or reverberation effects added to a musical sound, usually by appropriate filtering or delays
    • G10H2210/281Reverberation or echo
    • G10H2210/291Reverberator using both direct, i.e. dry, and indirect, i.e. wet, signals or waveforms, indirect signals having sustained one or more virtual refl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노래방 컨트롤 데이터에 에코 온/오프 정보를 미리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정보를 반주기에서 해석하여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의 프로토콜에 의하여 스피커에 전달하는 자동 조절 방법과, 마이크에 무선 송신기를 설치하여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서 에코를 인위적으로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수동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주기의 에코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원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형식으로 사용되는 노래방 컨트롤 데이터에 미리 기록한 에코 온/오프 정보를 반주기에서 해석하여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의 프로토콜에 의해 전달하고 앰프는 이 정보를 통하여 연결된 마이크의 에코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원곡의 음감을 반영하여 노래를 부르는 사람으로 하여금 보다 실감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제어 방법 및 마이크에 장착한 소형 무선 모듈을 사용하여 원격에서 에코 온/오프 정보를 반주기나 앰프에 전송하는 수동제어 방법을 각각 또는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반주기, 에코, 에코제어, 패킷, 에코이벤트

Description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echo using output signal of an accompaninment machine as music}

도 1 은 미디트렉에 가사시작 시점과 에코 온/오프 지점을 표시한 화면,

도 2 는 미디가사 및 에코 온/오프 트랙상의 이벤트 리스트,

도 3 은 유무선 통신라인상의 데이터 포멧,

도 4 는 반주기에서 에코이벤트 해석 순서도,

도 5 는 앰프에서의 에코이벤트 해석상의 블록다이아그램,

도 6 은 마이크에 탈 부탁식으로 제작된 소형 리모콘,

도 7 은 마이크에 탈 부착식으로 제작된 소형 리모콘 기능블럭도,

도 8a 는 마이크 에코조절기능의 유선연결을 나타낸 블럭도,

도 8b 는 마이크 에코조절기능의 무선연결을 나타낸 블럭도,

도 9 는 반주기와 앰프에서 에코레벨을 저장하는 방식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버튼 (2): 무선 송수신부

(3): 에코레벨 조절버튼(상) (4): 에코레벨 조절버튼(하)

본 발명은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래방 컨트롤 데이터에 에코 온/오프 정보를 미리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정보를 반주기에서 해석하여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의 프로토콜에 의하여 스피커에 전달하여 출력하는 자동 조절 방법과, 마이크에 무선 송신기를 설치하여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서 에코를 인위적으로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수동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통상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르는 도중에 박자를 놓친 경우나 원치 않는 음악의 소절등을 건너뛰기 위해서 전주점프, 간주점프, 마디점프, 템포조절 기능등이 사용되어져 왔고, 키가 맞지 않을 경우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키 조절기능 등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래를 부를 때 컨트롤 할 수 있는 기능이 이전부터 존재하여 왔으나 현대에 변화하는 새로운 음악 장르와 기법을 따르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곡에 들어가는 나래이션 또는 랩등과 같은 부분을 부를 경우 불필요한 에코의 영향으로 가사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으며 또 나래이션 또는 랩등과 같은 부분의 특성상 에코가 있어 노래를 부르거나 들었을 때 원곡의 느낌을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단순히 음악적인 데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며, 공 용으로 사용하는 외부기기를 통하여 에코를 직접 제어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 하였다. 즉, 종래의 반주기와 앰프의 통신 기술은 단순히 반주기에서 스피커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앰프의 볼륨조절 정도인 것이다.

한편, 대부분의 경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자체가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노래하고자 할 때에는 항상 에코가 기존에 세팅되어 있는 상태로 노래를 불렀어야 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을 반주기 컨트롤 데이터에 미리 기록한 정보를 사용하여 해석함으로서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의 프로토콜에 의해 전달하여 에코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자동 조절방법과, 마이크에 에코의 온/오프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 송수신장치를 사용하여 버튼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조절방법을 제공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주기의 에코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원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형식으로 사용되는 노래방 컨트롤 데이터에 미리 기록한 에코 온/오프 정보를 반주기에서 해석하여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의 프로토콜에 의해 전달하고 앰프는 이 정보를 통하여 연결된 마이크의 에코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원곡의 음감을 반영하여 노래를 부르는 사람으로 하여금 보다 실감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제어 방법 및 마이크에 장착한 소형 무선 모듈을 사용하여 원격에서 에코 온/오프 정보를 반주기나 앰프에 전송하는 수동제어 방법을 각각 또는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동 에코 온/오프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디를 통한 방법은 도 8(a) 처럼 반주기와 앰프가 서로간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에코 온/오프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는 기능으로, 무반향구간은 가사의 이벤트 리스트에 에코의 온/오프를 나타내는 두 개의 이벤트로 정의하고 삽입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반주기에는 음악 소리를 내기 위한 데이터와 반주기의 노래방기능을 하기위한 소리를 재생하지 않는 제어를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상기 제어를 위한 데이터는 음원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이 중에는 가사를 페인팅하는 데이터가 있는데 이를 실시예를 통하여 나타내면 도 1 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 은 미디트렉에 가사시작 시점과 에코 온/오프 시점을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1 에 나타나 있는 검은 점은 가사를 페인팅 할 시점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를 상세한 이벤트 리스트의 형태로 나타내면 도 2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2 는 미디가사 및 에코 온/오프 트랙상의 이벤트 리스트를 나타낸 것으로,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00:00:54:21(Hr:Mr:Sc:Fr)이라는 시각에 'Rhodes Piano'라는 악기패치를 삽입하고, 상기 'Rhodes Piano'라는 악기패치가 나올 경우 이를 에코 오프라는 에코 이벤트로 인식하도록 한다.

곡이 시작되면 반주기의 프로세서는 미디트랙에서 에코정보를 해석하고, 해석결과 에코 이벤트가 존재하면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코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앰프와 상호 미리정의한 프로토콜의 형태로 데이터를 형성하고 송신한다.

즉, 0~255까지의 에코레벨 중 현재의 에코레벨을 255단계중 10단계라고 가정하면 에코레벨은 0x0A가 되고, 미리 정의해둔 stx:0x01 echo off:0x01 echo on:0x02 etx:0xEE의 값을 바탕으로 01010AEE(16진수)라는 패킷이 되며, 이를 RS232라인을 통하여 앰프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패킷은 앰프에 설치되어 있는 반주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받게 되고, 앰프의 프로세서는 에코 레벨을 저장한 후, 마이크음에 에코를 추가하지 않고 A/D변환기를 거쳐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고, 이 신호는 디지탈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후 D/A변환기를 거쳐 아날로그 값을 변환되고 믹스된 후 최종 스피커단으로 출력하여 에코가 없는 소리를 낸다.

또한 반주기의 반주가 00:00:59:27이라는 시각에 'Music Box'라는 악기 패치를 삽입하고, 상기 'Music Box'라는 악기패치가 나올 경우 이를 에코 온이라는 에코 이벤트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앞의 'Rhodes Piano'와 'Music Box'를 통해 00:00:05:06이라는 시간동안 에코를 오프하였다가 기존의 에코레벨을 가진 에코를 복원하여 에코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다.

도 4 는 반주기에서 에코이벤트 해석 순서도를 나타낸 것으로, 미디트랙에서 에코정보를 해석하여 에코의 유무를 판단하고, 에코정보가 없으면 미디트랙의 해석을 계속 하고, 에코정보가 있으면 에코정보의 이벤트를 해석하여 에코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패킷을 만들어 송신함으로써 에코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두번째로 수동 에코 온/오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마이크에 탈 부착식으로 제작된 소형 리모콘을 나타낸 것으로,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는 에코 온/오프를 위한 버튼과, 넓은 반경으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와, 에코 온/오프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리모콘 칩을 구비하고 있다.

노래방 사용자는 노래중 무반향구간(Without echo)을 임의로 선택하여 마이크에 장치된 버튼을 누르게 되면 에코 온/오프가 스위칭되어 에코 온 또는 에코 오프 신호가 전달되며, 상기 전달된 에코신호는 리모콘 칩을 통해 에코 온/오프 코드를 생성하여 무선 송신기를 통해 이 신호를 송신하며, 앰프와 반주기가 신호를 수신하여 에코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도 5 는 앰프에서의 에코 이벤트 해석상의 블록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으로, 앰프를 통해 수신한 에코신호를 처음 받았을 경우 프로세서를 통해 에코 이벤트를 에코 오프로 인식하고, 에코 구동장치를 오프시키고, 현재의 에코 레벨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마이크의 무선 송신부로부터 받은 코드를 바탕으로 마이크 입력은 A/D변환기를 거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고 에코오프상태의 에코구동회로를 지나 디지털 증폭기를 거쳐신호가 증폭되고 다시 D/A변환기를 거쳐 아날로그 값을 변환하고, 상기와 같이 디지털 증폭되어 아날로그 값으로 변한 마이크 입력과 오디오 신호가 믹서를 통하여 합성된 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면 에코가 제거된 마이크 출력음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에코가 없는 상태에서 마이크의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면 앰프는 마이크 무선 수신부에서 에코 이벤트를 에코 오프 이벤트로 인식하고 메모리에 저장한 에코 레벨을 복원하여 에코구동회로를 구동시킨다. 이를 바탕으로 A/D변환된 마이크 입력은 에코구동회로를 통하여 에코를 포함하고, 디지털증폭기를 거쳐 신호가 증폭되고, 다시 D/A변환기를 거쳐 아날로그 값으로 변환한 후 오디오신호와 믹서를 통하여 합성된 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면 에코가 복원된 마이크 출력음을 얻을 수 있다.

도 9 는 에코 온/오프기능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으로, 유/무선으로 에코 이벤트를 수신받고 에코 온/오프유무를 판단하는 동작을 보여준다.

에코 온 이벤트일 경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에코 레벨을 복원시킨 후 에코 기능을 구동한 후 에코가 들어간 마이크 음을 출력하고, 에코 오프 이벤트일 경우 현재의 에코 레벨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에코가 없는 마이크를 바로 출력한다.

즉 에코레밸의 저장 및 복원은 반주기에서 저장을 하여 패킷을 레벨을 전송하여 에코레벨을 복원하는 방식과, 에코레밸의 저장 및 복원을 앰프에서 직접 행해 지도록 하는 방식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자동 에코 온/오프 방법이 사용될 경우에는 수동 에코 온/오프의 방법을 제한하거나 우선순위를 두어 혼합 사용함으로서 중복에 의한 착오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노래의 데이타에 미리 에코 온/오프 이벤트를 기록하여 에코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쉽게 원곡의 음감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노래를 부르는 사람으로 하여금 보다 실감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에 있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에코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조작이 쉬워 보다 간편하게 에코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에 있어서,

    반주기 컨트롤 데이터에 에코 온/오프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온/오프 정보를 반주기에서 프로세서가 해석하여 패킷으로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패킷을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의 프로토콜에 의해 앰프 및 마이크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을 반주기 유/무선 통신부가 전달받아 에코 오프의 신호일 경우 기존의 에코레벨을 저장한 후 에코를 오프시키고, 에코 온일 경우 저장된 에코레벨을 복원하여 온시키는 단계,

    상기 에코 온/오프 신호에 따라 에코를 추가하지 않거나 추가하여 스피커단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원곡의 음감을 반영하여 노래를 부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실감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방법.

  2. 에코 온/오프를 위한 버튼과, 에코 온/오프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리모콘 칩과, 넓은 반경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는 마이크와;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수신기와, 상기 에코 온/오프 코드를 해석 하기 위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해석된 에코레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에코를 온/오프시킬 수 있는 에코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앰프와 반주기;로 구성되어 마이크의 버튼을 사용하여 에코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장치.

  3. 사용자가 노래중 무반향구간(Without echo)을 임의로 선택하여 마이크에 장치된 버튼을 누르는 단계,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에코 온/오프가 스위칭되어 에코 온 또는 에코 오프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전달된 에코신호를 리모콘 칩에서 에코 온/오프 코드 및 에코레벨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에코 온/오프 코드 및 에코레벨 신호를 무선 송신기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앰프와 반주기가 신호를 무선 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프로세서에서 에코 온/오프 코드 및 에코레벨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에코 온/오프 코드를 해석하여 에코 오프의 신호일 경우 에코레벨을 저장하고, 에코 온일 경우 저장된 에코레벨을 복원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에코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코레밸의 저장 및 복원은 반주기에서 저장을 하여 패킷을 레벨을 전송하여 에코레벨을 복원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코레밸의 저장 및 복원은 앰프에서 직접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방법.

KR1020050066132A 2005-07-21 2005-07-21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 KR100795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50066132A KR100795409B1 (ko) 2005-07-21 2005-07-21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50066132A KR100795409B1 (ko) 2005-07-21 2005-07-21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70011673A KR20070011673A (ko) 2007-01-25
KR100795409B1 true KR100795409B1 (ko) 2008-01-17

Family

ID=3801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50066132A KR100795409B1 (ko) 2005-07-21 2005-07-21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 KR1007954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970068724A (ko) * 1996-03-18 1997-10-13 이기운 영상/노래 가사 정보 및 반주곡조 송출용 마스크
KR20030026745A (ko) * 2001-09-28 2003-04-03 주식회사 금영 음악반주시스템의 에코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86920B1 (ko) 1998-09-22 2003-06-09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노래반주장치의 마이크로폰 신호처리장치
  • 2005
    • 2005-07-21 KR KR1020050066132A patent/KR10079540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970068724A (ko) * 1996-03-18 1997-10-13 이기운 영상/노래 가사 정보 및 반주곡조 송출용 마스크
KR100386920B1 (ko) 1998-09-22 2003-06-09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노래반주장치의 마이크로폰 신호처리장치
KR20030026745A (ko) * 2001-09-28 2003-04-03 주식회사 금영 음악반주시스템의 에코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70011673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6518491B2 (en) 2003-02-1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musical composition data for use on portable terminal
US7122731B2 (en) 2006-10-17 Musical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9980019373A (ko) 1998-06-05 반주곡조 송출용 마이크의 녹음/재생 장치(Apparatus for record/play of transmitting an image and song)
JP4322190B2 (ja) 2009-08-26 電子早見本装置及びその対応付システム
JP3750699B2 (ja) 2006-03-01 楽音再生装置
KR100795409B1 (ko) 2008-01-17 반주기의 에코 조절방법 및 장치
KR100684458B1 (ko) 2007-02-22 노래반주기의 음성인식을 통한 남녀키 자동변환장치 및방법
JP2007025408A (ja) 2007-02-01 電子楽器
KR100928152B1 (ko) 2009-11-23 진동기능을 갖는 노래방 마이크를 이용한 노래반주시스템및 그 시스템의 진동기능 제공 방법
JPH09218688A (ja) 1997-08-19 カラオケ装置
JP4453580B2 (ja) 2010-04-21 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6651729B2 (ja) 2020-02-19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1324987A (ja) 2001-11-22 カラオケ装置
JP2006195215A (ja) 2006-07-27 通信端末装置、及び演奏システム
JPH09134181A (ja) 1997-05-20 カラオケ装置
JP2000047677A (ja) 2000-02-18 カラオケ装置
CN210516209U (zh) 2020-05-12 一种智能电子琴及音乐教学系统
KR0138303B1 (ko) 1998-06-15 테이프레코더의 녹음제어기능을 갖는 영상노래반주장치
KR100680860B1 (ko) 2007-02-09 효과음 발생 장치
JP3515007B2 (ja) 2004-04-05 マイクロホン入力のエコー調整機能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JP4009579B2 (ja) 2007-11-14 唄い出し指示システム
JP4097163B2 (ja) 2008-06-11 変調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3775097B2 (ja) 2006-05-17 楽音発生装置
JP2000056771A (ja) 2000-02-25 波形再生装置
KR0113214Y1 (ko) 1998-04-17 가라오케 반주장치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2005-07-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2006-09-27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7-04-24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7-10-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2008-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2008-04-11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2013-01-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2014-01-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7

2015-05-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8

2017-02-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0

2018-01-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