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북 플렉스 액정 수리 - gaelleogsibug peullegseu aegjeong suli

BESPOKE 냉장고 | BESPOKE 슈드레서 | BESPOKE 제트 | BESPOKE 제트 봇 | BESPOKE 큐브 Air | BESPOKE 큐브 냉장고 | BESPOKE 큐커

주방가전

셰프컬렉션 | 패밀리허브 | 인덕션 더 플레이트

생활가전

플렉스워시 | 애드워시 | 액티브워시 | 그랑데 | 큐브 | 파워건 | 제트 | 에어드레서 | 무풍에어컨 | 시스템에어컨 360

IT

PC

갤럭시 북 | 노트북 | 오디세이 | 데스크탑 | 모니터 | 프린터

모니터

오디세이 | 스마트 모니터

메모리/스토리지

SSD | 포터블 SSD | 메모리카드 | USB | 외장 HDD | UFS 카드

LSI

엑시노스 | ISOCELL | LSI | 파운드리

오디오

삼성

버즈 | 레벨 | EHS 시리즈 | EO 시리즈

하만

하만 카돈 | JBL | AKG | 마크 레빈슨 | ARCAM | REVEL | 렉시콘

스마트홈

SmartThings

서비스

매장

삼성닷컴 | 삼성디지털프라자 | 삼성 킹스크로스 | 갤럭시 하라주쿠 | 삼성전자서비스

서비스

Samsung Care+ | Galaxy To Go | 갤럭시 클럽 | 갤럭시 트레이드인 | 갤럭시 아카데미

관계사

자회사

삼성전자서비스 | 삼성전자판매 | 삼성전자로지텍 | 삼성전자 재팬 | 삼성메디슨 | 세메스 | 하만 | 플런티 | 셀비 | 스마트싱스 | 콰이어트사이드 | 프린터온 | 프록시멀데이터 | 심프레스 | 루프페이(삼성페이) | 에스코 일렉트로닉스 | 조이언트 | 애드기어 | 데이코 | 비브랩스 | 뉴넷 캐나다

합작사

에스유머티리얼즈 | 스테코 | TSST

교육

삼성전자공과대학교 | 삼성종합기술원 | 삼성디자인교육원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인물

고동진 | 권오현 | 김기남 | 김종민 | 김준성 | 김현석 | 경계현 | 노태문 | 량멍쑹 | 신종균 | 쓰쓰미 히로유키 | 윤부근 | 윤종용 | 이건희 | 이기태 | 이병철 | 이인용 | 이재용 | 이학수 | 임우재 | 임형규 | 정상희 | 정재은 | 정현호 | 진대제 | 최윤호 | 최지성 | 황창규 | 한종희


1. 개요2. 상세3. 가격표4. 장단점

4.1. 장점4.2. 단점

5. 통신사 보험과의 비교6. 수리 서비스 지원7. 여담


1. 개요[편집]

Samsung Care+ 공식 홈페이지

삼성전자에서 2020년 8월 5일 갤럭시 언팩 이후 함께 공개한 서비스 연장 플랜이다. 2020년 8월 14일 오전 10시부터 가입이 시작되며, 2019년부터 출시된 모든 삼성전자의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이다. 경쟁사의 AppleCare+와 상당히 유사하다. 차이점이라면은 다음 문단을 참조.

2. 상세[편집]



AppleCare+를 벤치마킹한 삼성전자의 보증 연장 프로그램으로, 모든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태블릿PC[1], 갤럭시 버즈 시리즈 , 갤럭시 워치 시리즈까지 모두 지원한다. 스마트폰의 경우 보증기간이 3년, 나머지 디바이스의 경우 보증기간이 2년으로 증가하며, 기기결함이 아닌 우발적인 파손도 3번까지 자기부담금을 지불하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AppleCare+와의 주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상품

Samsung Care+

AppleCare+

납부

월정액

일시불[2]

분실 보상

O

X[예외]

배터리 보증

유지(일부 지원)

유지(지원 없음)


기본적으로 스마트폰/태블릿처럼 통신이 가능한 기기는 처음 전원을 켠 날로부터 60일 이내, 워치/버즈와같은 웨어러블 기기는 구입후 60일 이내에 가입이 가능하다. 단, 스마트폰의 경우, 구입 후 3일 이내까지는 온/오프라인이 모두 가입이 가능하며, 4일 이상이 지났을 경우 근처의 서비스센터에 내방하여 기기 실물확인 절차를 거친 후 가입이 가능하다. 아무래도 가입 기간내에 파손이 되고 난 후 수리비를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인 듯. 태블릿이나 버즈, 워치등의 기타 디바이스에는 이러한 제한이 없이 온/오프라인에서 모두 가입이 가능하다. 다만 제한 시간인 60일이 지나면 어떠한 경우에도 가입이 불가능하다. [4]

특이한 점은 스마트폰 플랜의 경우 일반형과 파손보장형으로 나뉜다는 것이다. 파손보장형 플랜은 일반형에서 배터리 교체와 분실 보상, 보증기간 1년 연장을 뺀 대신 가격이 약 절반 수준으로 저렴하다. 본인의 사용 스타일을 생각해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다.

1회에 한해 양도가 가능하다. 1566-4590 삼성케어 플러스 서비스센터로 연락 후, 상담사에게 양도 의향을 밝히면 48시간 동안 사용 가능한 가입자 변경 URL을 준다. 해당 링크에 접속해서 양도인과 양수인 정보를 입력하면 양도 절차가 완료되며, 이후로는 양수인이 월정액을 지불하며 삼성케어를 유지하게 된다.

3. 가격표[편집]

공식 홈페이지 : //www.samsungcareplus.co.kr/

2021년 9월 9일에 공홈 내 표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읽는 시점에서는 아래 표와 다를 수 있습니다.
가입 가능한 제품은 2019년 이후 출시 제품이다.

스마트폰 (단위: 한국 원[₩])

모델 명

갤럭시 S & 노트 시리즈

갤럭시 폴드 시리즈

갤럭시 플립 시리즈

갤럭시 A 시리즈

가격

6,400

12,700

9,700

3,500

상품 기간

해지 시점 자유 & 최대 36개월까지 가입 유지 가능

파손(자기부담금)
총 3회

80,000

160,000

140,000

35,000

도난/분실(자기부담금)
총 1회

350,000

550,000

400,000

150,000

배터리(자기부담금)
총 1회

20,000

보증 연장

'최초 통화일부터 2년' → '가입 시점부터 3년'으로 연장

방문 수리(출장비)
총 3회

고객 과실의 경우 : 18,000


스마트폰 파손보장형 (단위: 한국 원[₩])

모델 명

갤럭시 S & 노트 시리즈 [a]

갤럭시 폴드 시리즈

갤럭시 플립 시리즈

갤럭시 A 시리즈 [a]

가격

3,300

6,900

4,700

1,700

상품 기간

해지 시점 자유 & 최대 36개월까지 가입 유지 가능

파손(자기부담금)
총 2회

80,000

160,000

140,000

35,000

방문 수리(출장비)
총 3회

고객 과실의 경우 : 18,000


태블릿 (단위: 한국 원[₩])

모델 명

갤럭시 탭 S 시리즈

갤럭시 탭 A 시리즈

가격

4,600

2,700

상품 기간

해지 시점 자유 & 최대 24개월까지 가입 유지 가능

파손(자기부담금)
총 3회

75,000

40,000

배터리(자기부담금)
총 1회

20,000

보증 연장

'최초 통화일부터 1년' → '가입 시점부터 2년'으로 연장


웨어러블 (단위: 한국 원[₩])

모델 명

갤럭시 버즈 시리즈

갤럭시 워치 시리즈

가격

1,300

2,300

상품 기간

해지 시점 자유 & 최대 24개월까지 가입 유지 가능

파손(자기부담금)
총 2회

20,000

35,000

보증 연장

'최초 통화일부터 1년' → '가입 시점부터 2년'으로 연장


노트북 (단위: 한국 원[₩])

모델 명

갤럭시북 Pro

갤럭시북

가격

9,600

8,400

상품 기간

해지 시점 자유 & 최대 24개월까지 가입 유지 가능

파손(자기부담금)
총 1회

50,000

35,000

배터리(자기부담금)
총 1회

20,000

보증 연장

'최초 통화일부터 1년' → '가입 시점부터 2년'으로 연장

방문 수리

이미 삼성전자서비스의 출장서비스가 운영 중, 출장비 별도 청구

4. 장단점[편집]

4.1. 장점[편집]

  • 얼마나 파손되든 자기부담금만 내면 된다.
    핸드폰이 박살나든[7], 침수[8]가 되어서 대부분의 부품이 망가지든 무조건 자기부담금만 내면 된다. 예를 들어 갤럭시 노트20 Ultra를 디스플레이가 깨진 채로 쓰다가 깨진 틈 사이로 물이 들어가 메인보드까지 망가질 경우, 디스플레이(293,000 원)[9] 메인보드(487,000 원)로 약 80만 원에 가까운 돈이 들어가지만, 삼성케어+에 가입되어 있으면 무조건 8만 원만 내는 방식이다.

다른 문단에서 추가로 서술하겠지만 통신사 보험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가부담금이 20%이므로 위의 경우 156,000 원을 부담해야 한다. 즉, 크게 망가질수록 삼성케어+가 유리하다. 완전 파손이나 침수는 보장해주지 않는 AppleCare+에 비하면 확실한 장점.

또한 버즈의 경우 한 번에 수리하면 무조건 1회로 인정된다. 이게 무슨소리인지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버즈는 총 3회까지 파손 보험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 수리 영수증 한 장에 여러 부품을 고쳐도 1회이기 때문에, 차나 사람이 밟아서 크래들(본채)와 양 이어버드가 모두 어느 정도 박살[10]나도 1회로 인정하여 2만 원에 수리가 가능하다.

  • 분실 시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AppleCare+ 가 분실 시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과는 다른 또 다른 차별 포인트이다.[11] 처음 스마트폰을 통해 가입할 때 보안솔루션을 활성화 하는데, 이후 스마트폰을 분실했을 경우 이 기능으로 기존 스마트폰은 잠겨버리고 초기화도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 가입 및 해지가 매우 쉽다.

스마트폰의 경우 삼성 멤버스에서 쉽게 가입 가능하고, 웨어러블 제품의 경우 이곳에서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제품의 경우 판매자에게 재고로 있었던 기간이 30일 이상이면 구매 직후에 등록해도 가입 기간이 지났다는 오류가 날 수 있어 1:1 문의로 등록을 요청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해지의 경우 바로 윗 문단의 링크로 들어가 쉽게 해지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받은 보상과 전혀 상관 없이 언제든 해지가 가능하며, 해지 시 보증 기간도 연장 전으로 돌아가니 주의

  • 번거로운 보험 신청 과정이 없다. (특히 미성년자)

통신사 보험을 받아본 사람은 알 텐데, 은근 번거롭다. 수리 영수증, 결제 영수증 등등이 필요하고 앱으로 신청해야 한다.
미성년자의 경우 과정이 하나 더 느는 것도 문제지만 단순히 앱에서 신청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KT의 경우 통신사에 전화해 상담원에게 요청하고, 문자로 수신받은 링크로 파일을 올려야 한다. 정말 번거롭다.

하지만 삼성케어+의 경우 단말의 S/N를 확인하기 때문에 스마트폰·태블릿·노트북의 경우 형체만 알아볼 수 있으면 되고, 웨어러블의 경우 연결된 핸드폰만 있으면 쉽게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애당초 보험금을 삼성전자서비스가 받고 본인은 자기부담금만 결제하는 방식이라서, 이용 시 서류 한 장[12]만 작성하고 바로 결제하면 된다.

  • 보증의 연장

단순 유상 보상만 늘어나는 게 아니라, 기본 무상 보증도 연장되기 때문에 유상 수리를 안 했다고 아예 손해가 되는 건 아니다. 가입 시점부터 3년이 핵심인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1일에 사면 가입 가능 기간이 30일 이므로 20일에 가입했다고 하면 1일부터 3년이 아니라, 20일부터 3년으로 보증 기간이 3년보다 며칠 더 늘어난다.

4.2. 단점[편집]

  • 자기 부담금 고정
    자기 부담금이 기종별로 고정되어 있는데, 통신사 보험은 자기 부담금이 수리비용에 비례하기 때문에 저렴한 부품이 고장났다면 통신사 보험이 더 이득이다. 기본적으로 삼성 제품은 수리비가 저렴한 편이라서 자기부담금을 넘는 경우가 잘 없다. 그리고 삼성의 수리 방식은 애플의 리퍼비시 방식과 달리 고장난 부품만 교체해서 수리하기 때문에 다른 부품이 연쇄적으로 고장나면 부담금이 곱절로 늘어난다. 통신사 보험의 부담금이 과거에 비해서 늘어났지만 대부분의 기종에서 여전히 저렴한 편이다.

수리비 비교 (갤럭시 노트20 Ultra 기준)

사고

스피커 고장

디스플레이 단독

디스플레이 전체

디스플레이 + 메인보드

수리비

약 4~6만 원

236,000원

293,000원

777,000원

삼성케어+

약 4~6만 원
사용 불가

80,000
보상액 156,000

80,000
보상액 213,000

80,000
보상액 697,000

T All케어

30,000원[최소]
보상액 1~3만 원

66,080원
보상액 169,920

82,040원
보상액 210,960원

217,560원
보상액 559,440원

수리비 비교 (갤럭시 폴드 4 기준)

사고

서브 디스플레이

메인보드

메인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 메인보드

수리비

91,000원

496,000원

611,000원

1,171,000원

삼성케어+

91,000원
사용 불가

160,000
보상액 309,000

160,000
보상액 451,000

160,000
보상액 1,011,000

T All케어

30,000원[최소]
보상액 61,000원

140,700원
보상액 328,300

183,300원
보상액 427,700원

351,300원
보상액 819,700원


상단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하나의 파손을 기준으로 하면 액정이 박살났을 때가 마지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이하의 자잘한 파손은 통신사 보험이 이득이다.

또한 S시리즈/노트의 경우 라인업 전체가 동일한 수리비로 묶여있기 때문에 저렴한 모델의 경우에는 손해가 더 커진다. 예를 들어 갤럭시 S20 FE의 디스플레이(+측면 프레임과 배터리) 교체금액은 107,000원이기에 1년 가입비+3번 파손시 자기부담금이 보험없이 3번 교체하는 것보다 비싸다(..)

가입 전, 반드시 기종별 교체비용을 확인하고 어느 쪽이 이득인지 판단하는것이 좋다.

  • 제품 분류마다 보상의 범위가 크게 다르다.

분류에 따라 보상의 범위가 다르니 여러개의 기기를 가입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기기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노트북

파손

〇 (3회)

〇 (3회)

〇 (3회)

〇 (3회)

도난/분실

〇 (1회)

배터리

〇 (1회)

〇 (1회)

〇 (1회)

방문 수리

〇 (출장비)

〇 (출장비)

5. 통신사 보험과의 비교[편집]

  • 둘 중에 하나만 가입한다면?

구분

삼성케어+

통신사 보험

(평균) 기간

최대 3년

보통 2년

(상대적) 가격

금액

비싼 편

저렴한 편

납부

별도

통신비랑 함께

보장

횟수 제한

금액 제한

출장 수리


태블릿, 웨어러블, 노트북은 일반적으로 통신사 보험이 없기 때문에 삼성케어+에 가입하는 것이 속편하다.

스마트폰의 경우 아래의 경우 삼성케어+를 추천한다.

  • 한 번에 제대로 박살내기 쉬운 현장 근무가 많은 사람

  • 근무 시간대로 수리를 받기 어렵거나 휴가를 내야 하는 사람[15]

  • 핸드폰을 2년 주기로 교체하지 않고 오래 쓰는 사람

  • 케이스나 필름같은 보호장치로 미관을 해치는 것이 싫은 사람

  • 알뜰폰, 자급제를 이용하거나, 통신사를 중간에 바꿀 의향이 있는 사람


하지만, 시간이 여유로운 백수사람이나 핸드폰을 소중히 다루는 사람, 2년 또는 그 보다 짧은 주기로 자주 교체하는 사람들은 통신사 보험이 유리할 수 있다.

  • 둘 다 가입한다면?


중복 보장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한 번에 하나의 보험만 적용받을 수 있는 건 아니다.

보험 우선 순위

삼성케어+

통신사 보험

파손 시

2

1

분실 시

1

2


파손 시, 통신사 보험의 자기 부담금에서 삼성케어+의 자기 부담금을 초과한 금액을 보상받는다.

스마트폰 (S & N) 파손 시

수리비

통신사 보험

자기 부담 30%

삼성케어+

최종 자가부담금

50만 원

15만 원

8만 원
고정


분실 및 도난 시, 삼성케어+의 자기 부담금에서 통신사 보험의 자기 부담금을 초과한 보상을 보상받는다.

스마트폰 (S & N) 분실/도난 시

원가

삼성케어+

자기 부담금

통신사 보험

최종 자가부담금

기기 원가
약 110만 원

35만 원
고정

10만 5천 원

6. 수리 서비스 지원[편집]

7. 여담[편집]

2016년에 지원 중단되어 사라진 삼성 케어하고 이름이 비슷하지만, 두 서비스는 그다지 관계가 없다. 삼성 케어는 삼성 멤버스가 탄생하기 전,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몇몇 지역에 출시 및 대응하던 앱이었으며 추후 삼성 멤버스로 통합되었다.

참고로 삼성 케어와 연동 된 유튜브 채널은 앱이 종료 한 이후에도 계속 서비스되고 있으며, 오히려 사용법에대해 전문적으로 알려주는 유튜브 채널이 되었다. 한국에는 '갤럭시 컨설턴트'가 비슷한 포지션의 채널이다 삼성 케어라는 이름이 훨씬 더 멋지고 전문적으로 보이는 것은 안비밀

사실 한가지 간과하기 쉬운게있는데, 삼성전자의 가전제품 또한 삼성케어플러스가 있다.

2022년 8월 14일에 1회에 한해 타인에게 양도가 가능하도록 약관이 변경되었다.

[1] 갤럭시 탭 S, A 시리즈 모두 가입할 수 있다.[2] 월정액 상품도 존재하나 한국에는 아직 미출시.[예외]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AppleCare+ with Theft and Loss라는 별도의 플랜이 존재한다.[4] 웨어러블 기기를 구입한지 60일이 지나지 않았는데 기간이 지났다고 뜨는 경우는 구제가 가능하지만 영수증과같은 증빙서류가 있어야 가능하다.[a] 5.1 5.2 2021년 9월 중 런칭 예정[7] 수리는 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정말로 완전히 박살난 경우는 휴대폰은 분실로 처리되고, 그 외는 분실에 대한 보장이 없어 보장받을 수 없다고 한다.[8] 침수도 파손으로 인정한다.[9] 깨진 액정을 반납하는, 액정 반납가 기준[10] 완전히 박살이 나면 수리가 불가능하다며 보장하지 않는다. #[11] AppleCare+ 또한 분실 및 도난을 보장하는 플랜이 있지만 이것은 미국 본토에 한정되며, 한국을 포함한 거의 대부분 국가에서는 지원되지 않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