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사 나무위키 - eneojigwanligineungsa namuwiki

검색

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에너지관리기사' 문서로 가기

전체 14 건 / 처리 시간 0.271초

쌍기사

격증이 없기도 하다. , 에너지관리기사 기계 직렬 공기업, 공무원 민경채에서 우대하고 있으며, 냉난방 시설 관리도 기계직렬 메인업무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한점은 기계과에서 에너지관리기사는 찬밥신세를 고전하지 못하고있다. 앞에 서술한 산업안전기사자격과 같은 맥락으로 취득하기 쉬운 이점+기계직무 관련 자격을 취득 한 후 산업안전기사 혹은 에너지관리기사를 취득하는것이 유리하다. 화공 - 화공기사 , 화학분석기사 , 가스기사 , 에너지관리기사 등 전

틀:필기 접수자 상위 대한민국 기사 자격증

5위 화학분석기사 8,675 2,714 31.3% 16위 화공기사 8,294 2,835 34.2% 17위 공조냉동기계기사 7,688 860 11.2% 18위 산림기사 6,328 1,517 24.0% 19위 식물보호기사 5,903 1,611 27.3% 20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5,883 1,361 23.1% 21위 조경기사 5,712 561 9.8% 22위 산업위생관리기사 5,685 1,692 29.8% 23위 에너지관리기사 5,1

건설재료시험기사

우가 많다. 일단 공부 내용 자체가 토목기사의 하위 호환이라고 보면 되고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비전공자라도 건설기술인협회에서 품질분야 '초급'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건축, 토목 둘 다 인정된다. 기사는 30점이 인정되고 이것저것 점수를 더하다 보면 40점은 받을 수 있다. 경력이 없어도. 또한 에너지관리기사 응시자격이 되지 않는 수험자가 건설재료시험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에너지관리기사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1, 2, 4회차 시

건설안전기사

점. 산업안전기사 작업형이 주로 안전사고 상황에 대한 판단이나 원인을 적는 것이라면 주로 특정 물건이나 작업 상황을 보여주고 명칭, 작업내용, 규칙, 기준 등을 묻는 문제가 많다. 지금은 없어진 에너지관리기사 작업형이나 가스 자격증 작업형과 유사하다. 필답형에 비하면 신출 빈도가 적기 때문에 기출을 많이 돌리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신출이 나오면 어지간히 빡세게 공부하지 않은 이상 포기하는 게 편하다.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기기사 , 에너지관리기사 같이 필수 자격증이 아니고 기계가공업체의 인력난이 심각하여 이 자격증이 취업에 좋은 자격증은 아니다. 다만 직속 상위 자격증을 취득할 경우 이 기술이 기본이 되므로 공부해놓는 것이 좋다. 해당 자격증을 가지고 공군 기술병 지원 시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와 달리 선반과 밀링은 대다수의 항공기정비 특기에서 반영하나, 애초에 꿀 특기를 노리는 경우 항공업계를 목표로 하는 직업전문학교/전문대 출신이 항공정비사 면장과 항

자격증 갤러리

활1급은 자격증 갤러리 최고의 대결구도이다. 언급해선 안되는 자격증 공조냉동기계기사 에너지관리기사 가스기사등 각 산업기사들 각종 기능사 기능장 기능장 취득하고 인증샷을 혹시라도 올린다면 바로 무시당하기 일쑤니까 주의하자 각종소방기사,산업기사 자격증 자격증 갤러리에서 욕 안 먹는법(...) 전기기사는 전기기사 마이너 갤러리가 생긴 후에 해당 갤러리로 많이 이사갔다. 용어 피카츄 전기기사를 뜻하는 속어, 혹은 전기관련에 종사하는사람 정처기 정

대기환경기사

트에서 최대한 점수를 얻어놓아야 한다. 만약 에너지관리기사 를 취득했다면 면제받을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동일. 하지만 공정시험법의 난이도를 생각하면 면제받는 게 독이 될 수도 있다. 2차 실기와 연동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대기오염방지기술 대기환경기사 전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이다. 출제범위는 '집진장치들의 설계' 에 몰려 있으므로, 계산문제가 강하다면 얼마든지 덤벼볼만한 과목이다. 먼지와 입자관련 이론, 각종 집진장치의 설계 및 유

취업/이과

능하나 그래봤자 나머지는 전자공학, 산업공학 등 공대 비기계 전공자다.) , 학업 능력이 낮다고 의심받을 만한 삶을 살아온 사람이거나 학벌, 학점 , 공공기관과 사기업에 겸해서 지원할 경우 사기업에서도 기사를 소지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전공 PT면접의 주요 출제 범위가 기사시험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기계공학 : 일반기계기사 , 공조냉동기계기사 , 에너지관리기사 화력 발전소, 제철소 등 큰 규모의 열을 사용하거나 큰 규

환경안전

간공학적 문제, 작업환경적 문제 등으로 생길 수 있는 문제를 담당한다. Utility 관련 전공은 기계공학 이다. 공조냉동기계기사, 에너지관리기사, 가스기사 등이 유용하다. 다루는 영역은 공기압축기, 보일러, 공조설비, 용수처리, 오폐수 처리 등이다. 방재 관련 전공은 소방학, 방재학, 화학공학, 안전공학이다. 가스기사가 중요하다. 그 외에도 소방설비기사, 전기기사, 위험물산업기사 등을 중시한다. 다루는 일은 소방시설을 감리/설계/운

열역학

학반응공학, 상평형에 대한 적용은 분리공정, 그리고 에너지수지식이 유체역학에도 쓰이기 때문에 화공과에서 열역학을 못한다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열기관+화학반응+상전이위주로 배운다. 시험 과목으로도 등장한다.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 5급 기술직 '열역학'(기계공학과 열역학), '화공열역학'(화학공학과 열역학) 변리사 : 2차 선택과목 '열역학'(기계공학과 열역학) 국가기술자격 열역학: 에너지관리기사 기계열역학: 일반기계기사 , 건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0mm 로 소재를 고정하여 실격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도면에 가로세로 방향이 적혀있으니 가장 만만한 작업이라고 대충보고 바이스에 고정시키지 말고 끝까지 긴장하면서 도면을 보고 또 보면서 맞게 고정시켰나 확인해야한다. 취득 후 기계가공업체에 취업할 때 도움이 되는 편이다. 다만 기계가공계열 자격증은 전기기사 , 에너지관리기사와 같이 필수 자격증이 아니고 기계가공업체의 인력난이 심각한 편이므로 이 자격증이 취업에 좋은 자격증은 아니다. 다만 직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30X70X70으로 변경)을 깎는다. 취득후 기계가공업체에 취업할때 도움이 되는 편이다. 다만 기계가공계열 자격증은 전기기사 , 에너지관리기사와 같이 필수 자격증이 아니고 기계가공업체의 인력난이 심각한 편이므로 이 자격증이 취업에 좋은 자격증은 아니다. 다만 하위 자격증(기능사)을(를) 취득할 경우 이 기술이 기본이 되므로 기능사 자격증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참조 과 같이 공부해놓는 것이 좋다.

기사(자격증)

방설비기사(기계분야) ◎,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 인간공학기사 , 화재감식평가기사, 농작업안전보건기사 , 방재기사 252. 비파괴검사 - 누설비파괴검사기사,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자기비파괴검사기사,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침투비파괴검사기사 26. 환경ㆍ에너지 261. 환경 - 대기환경기사 ◎, 생물분류기사(동물), 생물분류기사(식물), 소음진동기사, 수질환경기사 ◎, 자연생태복원기사, 토양환경기사, 폐기물처리기사◎, 온실가스관리기사, 환경위해관리기사 262. 에너지ㆍ기상 - 기상기사 , 기상감정기사, 원자력기사☆◎, 에너지관리기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화학공학과

위조작, 열역학, 반응공학, 공업화학, 공정제어에 걸쳐 출제한다. 7,9급 공무원 및 공기업 취업을 노릴 때 주로 노리는 자격증이다. 화공 기사라는 이름에서 느껴지는 포스 에 비해 취업시장에서 별 우대는 받지 못한다. 화학분석기사 : 최근 화공기사의 인기가 줄어들면서 반대급부로 부상한 자격증. 주로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해서 다룬다. 가스기사 대기환경기사 수질환경기사 에너지관리기사 화공기술사 , 화공안전기술사: 화공 계열 국가기술자격의 최

  • 1

정기검정 외에 예측할 수 없거나 긴급한 경우 등의 검정 수요에 대응하여 실시하는 수시검정도 있다. 전파전자통신기능사(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는 연 1회 정기적으로 수시검정을 치루고 있고, 한국산업인력공단 신규 검정 종목의 경우 제1회 시험을 수시검정으로 치루는 게 일반적이다.

3.3. 국방부 군인검정[편집]

위의 시험과 별도로 연 2회 군인 검정이 시행되고 있다. 2019년 기준으로 49종목이 열리지만 육해공별로 열리는 종목이 약간씩 다르다.[18] 응시료는 전액 무료. 때문에 취업과 포상휴가[19]을 준비하는 병사, 장기복무 선발을 꿈꾸는 간부[20]들이 매 반기 상당수 응시하고 있다. 오히려 사회 국기검보다 국방부 국기검의 응시자가 많은 종목도 있을 정도.

군인[21]이나 군무원이 아니면 응시 불가.[22]

또한 일부 종목의 경우 집체교육을 시켜주기까지 한다. 이것도 전액 무료다. 심지어 여건이 좋은 부대는 일과후에 자율적으로 연습할 공간과 자재를 마련해주는 경우도 있다. 다만 해당 부대에서 교육은 해주되 여건상 응시는 다른 부대로 출장을 가서 봐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용접이나 굴착기 같은 자격증이 그렇다.[23] 정보처리기능사/산업기사는 필기 실기 모두 필답형이라 모든 부대에서 볼 수 있다.[24]

시험을 위해 1박 2일, 사전교육 일정이 잘 잡히면 2박3일 동안 타 부대에서 숙영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자대에서 시험장소가 너무 멀어서 이런 사태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일부 시험의 경우는 시험 응시가 가능한 장소가 전군에 한 곳뿐이다. 특히 육군이 해군, 공군 부대로 가야 한다거나 반대로 해군, 공군이 육군 부대에 가야 한다거나 등등... 심지어 백령도에서 복무하는 공군은 무려 해병대 부대로 시험치러 가야 한다.

정말 운 좋으면 부대 훈련을 이걸로 째는 경우도 있다. 김영삼 문민정부 때인 1995년 국가기술자격 제도가 도입되면서 군인사법을 제정해 우선순위 강제력을 부여했다. 따라서 부대 훈련/검열과 자격시험 일정이 겹치는 경우, 국방부 장관 레벨에서 해당 부대에 자격시험 응시 인원을 열외시키도록 하고 있다. 현직 군인인데 국가기술자격 시험 때랑 훈련이 겹쳤는데 해당 부대에서 안 빼준다 그러면 그냥 민원을 넣자. 바로 빼줄 것이다. 사실 이렇게라도 안해주면 부대가 헬인 곳에 근무하는 장병들은 시험을 전혀 볼 수가 없게 된다.

간혹 일부 부대는 불합격시 불이익을 주기도 한다. 물론 불합격했다고 연병장 뺑뺑이를 돌리는 등 직접적인 페널티를 주는 것은 아니지만 재응시를 막는 등[25]의 페널티가 있을 수 있다. 단순 불합격은 페널티가 없더라도 무단 결시는 100%라고 봐도 좋다.[26]

  • 필기 면제: 일부 특기는 특기학교(후반기교육) 교육 수료를 훈련기관 이수로 인정해 필기 면제를 받을 수 있다. 아래 예시의 경우는 공군 부사관/병 기준이다. 특기학교 교육 수료하고 1년이 지난 시점에서 2년간 필기가 면제된다.

    • 항공기기체정비부사관 초급→항공기체정비기능사

    • 항공기제작정비부사관 초급→용접기능사

    • 정밀측정장비부사관 초급→전자기기기능사, 전자계산기기능사

    • 공병건설부사관 초급→굴착기운전기능사, 불도저운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롤러운전기능사

    • 공병장비운전병→굴착기운전기능사, 불도저운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롤러운전기능사

    • 전력설비병→전기기능사[27]

    • 기계설비병→에너지관리기능사

    • 유선통신체계정비부사관 초급→통신기기기능사, 통신선로기능사

    • 정보체계관리부사관 초급→정보처리기능사

    • 지상레이더체계정비부사관 초급→무선설비기능사

    • 무선통신체계정비부사관 초급→무선설비기능사

4. 대한민국 기능사 자격증 종류[편집]

자세한 종류 및 일정은 해당 홈페이지로.

표시 없음 - 한국산업인력공단 관리 자격

★ - 한국산업인력공단 상시검정 대상 자격(14개)

☆ - 영화진흥위원회 관리 자격(1개)

◇ - 한국광해광업공단 관리 자격(2개)

◆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관리 자격(5개)

♤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관리 자격(1개)

♠ - 대한민국 국방부 군인검정 대상 자격(49개) - [28]

◎ - 「행정안전부 소관 비상대비자원 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한 인력자원 (19~60세 대한민국 국민 남녀 동원훈련 대상)

4.1. 자격증 목록[편집]

  • 08. 문화ㆍ예술ㆍ디자인 ㆍ방송

    • 082. 디자인 - 웹디자인기능사[29],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30]

    • 083. 방송 - 영사기능사☆◎

  • 09. 운전ㆍ운송

    • 091. 운전ㆍ운송 - 농기계운전기능사

  • 11. 경비ㆍ청소

    • 111. 경비ㆍ청소 - 세탁기능사

  • 12. 이용ㆍ숙박ㆍ여행ㆍ오락ㆍ스포츠

    • 121. 이용ㆍ미용 - 이용사♠, 미용사(일반)★, 미용사(피부)★, 미용사(네일)★, 미용사(메이크업)★

  • 13. 음식 서비스

    • 131. 조리 - 한식조리기능사★◎♠, 중식조리기능사★♠, 양식조리기능사★♠, 일식조리기능사★♠, 복어조리기능사, 조주기능사

  • 14. 건설

    • 141. 건축 - 거푸집기능사◎, 건축도장기능사★[병행]◎♠, 건축목공기능사◎♠, 도배기능사◎, 미장기능사◎♠, 방수기능사★[병행]◎, 비계기능사◎, 실내건축기능사, 온수온돌기능사, 유리시공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조적기능사◎♠, 철근기능사♠, 타일기능사♠

    • 142. 토목 - 건설재료시험기능사◎, 공간정보융합기능사[33], 도화기능사, 석공기능사◎, 잠수기능사◎♠,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지도제작기능사, 지적기능사, 철도토목기능사, 측량기능사◎♠, 콘크리트기능사◎, 항공사진기능사♠, 항로표지기능사

    • 143. 조경 - 조경기능사

    • 145. 건설 배관 - 배관기능사◎♠

    • 146. 건설기계운전 -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굴착기운전기능사★◎♠, 기중기운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롤러운전기능사◎♠, 불도저운전기능사◎♠, 천공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 15. 광업자원

    • 151. 채광 - 광산보안기능사◇, 시추기능사◇, 화약취급기능사◎

  • 16. 기계

    • 161. 기계제작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기계가공조립기능사◎, 공유압기능사[설비보전],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정밀측정기능사◎

    •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 건설기계정비기능사◎♠, 궤도장비정비기능사♠,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설비보전기능사[설비보전], 기계정비기능사[설비보전]◎, 승강기기능사◎, 전자부품장착(SMT)기능사, 농기계정비기능사, 생산자동화기능사,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37]

    • 163. 철도 - 철도차량정비기능사

    • 164. 조선 - 동력기계정비기능사[38]◎, 선체건조기능사, 전산응용조선제도기능사[39]

    • 165. 항공 - 항공기관정비기능사[A]◎♠, 항공기체정비기능사[A]◎♠, 항공장비정비기능사[B]◎♠, 항공전자정비기능사[B]◎

    • 166. 자동차 -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 167. 금형ㆍ공작기계 - 금형기능사

  • 17. 재료

    • 171. 금속ㆍ재료 - 금속재료시험기능사, 압연기능사, 열처리기능사◎, 제강기능사◎, 제선기능사, 축로기능사

    • 172. 판금ㆍ제관ㆍ새시 - 금속재창호기능사, 판금제관기능사◎, 플라스틱창호기능사

    • 173. 단조ㆍ주조 - 주조기능사, 원형기능사[44]◎

    • 174. 용접 - 용접기능사[45]◎♠, 특수용접기능사◎♠[46]

    • 175. 도장ㆍ도금 - 광고도장기능사[47], 금속도장기능사, 표면처리기능사◎

  • 18. 화학

    • 181. 화공 - 화학분석기능사◎♤

    • 182. 위험물 - 위험물기능사♠

  • 19. 섬유ㆍ의복

    • 191. 섬유 - 염색기능사(날염), 염색기능사(침염)

    • 192. 의복 - 양복기능사[48], 양장기능사[49], 신발류제조기능사[50], 한복기능사

  • 20. 전기ㆍ전자

    • 201. 전기 - 전기기능사◎♠, 철도전기신호기능사

    • 202. 전자 - 광학기능사[51], 의료전자기능사, 전자계산기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52]◎♠, 전자캐드기능사, 3D프린터운용기능사

  • 21. 정보통신

    • 211. 정보기술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 212. 방송ㆍ무선 - 방송통신기능사◆◎♤, 무선설비기능사◆◎♠

    • 213. 통신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통신기기기능사◆◎♠, 통신선로기능사◆◎♠

  • 22. 식품가공

    • 221. 식품 - 식품가공기능사

    • 222. 제과ㆍ제빵 - 제과기능사★, 제빵기능사★, 떡제조기능사

  • 23. 인쇄ㆍ목재ㆍ가구ㆍ공예

    • 231. 인쇄ㆍ사진 - 사진기능사◎♠, 전자출판기능사◎, 인쇄기능사

    • 232. 목재ㆍ가구ㆍ공예 - 가구제작기능사, 귀금속가공기능사, 도자기공예기능사, 목공예기능사, 보석가공기능사, 보석감정기능사, 석공예기능사, 피아노조율기능사

  • 24. 농림어업

    • 241. 농업 - 원예기능사, 유기농업기능사, 종자기능사, 화훼장식기능사

    • 242. 축산 - 축산기능사, 식육처리기능사

    • 243. 임업 - 버섯종균기능사, 산림기능사, 임산가공기능사[53], 임업종묘기능사

    • 244. 어업 - 수산양식기능사

  • 25. 안전관리

    • 251. 안전관리 - 가스기능사◎♠

    • 252. 비파괴검사 -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 26. 환경ㆍ에너지

    • 261. 환경 - 환경기능사♠

    • 262. 에너지ㆍ기상 - 에너지관리기능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5. 관련 문서[편집]

  • 자격증

  • 의무검정


[1] 1999년에 기능사보를 없애면서 최하위 등급이 되었다.[2] 물론 적다. 필기 내용만 해도 중고등학생 수준이라서 초등학생이 필기시험 공부하기에는 많이 힘들기 때문이다.[3] 덕분에 국가기술자격 등급 중 유일하게 학점은행제도에서 학점 인정이 되지 못한다.[4] 2020년 실기 출제기준을 바꾸고 난 후 합격률이 확 줄어들었기 때문에 지금은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5] 과락은 없으나 필기 합격률이 매우 저조한 편이며, 판금/도장이 주 내용인 실기는 경력자들도 떨어지는 경우가 많이 나오는 종목.[6] 물론 실기가 어려운거지 필기는 일주일이면 충분히 딸 수 있다. 시험 이틀 전부터 하루 2시간씩 기출 뺑뺑이 돌려서 합격하는 경우도 있다.[7] 사진 현상에 필요한 각종 현상주약과 약품명, 화학 원소나 기호 등의 내용이 나온다.[8] 그런데 애초에 전공자들은 최소 2년제 전문대학졸업자의 경우 전기산업기사, 4년제 전기관련학과 졸업자의 경우 전기기사의 응시자격이 주어지므로 기능사를 칠 이유가 없다. 마이스터고나 특성화고에서 의무검정 제도로 인해 필기시험이 면제되기 때문에 사실상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의 경우 비전공자들만이 공부하게되며 이러한 이유 덕분에 기능사 시험중에서 가장 어려운 시험으로 손꼽히는것. 마고나 특성화고라고 해서 전부 의무검정으로만 취득하는 건 아니고, 고졸취업을 준비하는 경우 의무검정 이전에 미리 취득해놓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는 전공자인 전기 관련 학과 학생들도 필기에서 많이 떨어진다.[9] 특히 미적분학 쪽의 지식을 요구하는 것이 많아 여기서 헤매서 떨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10] 하지만 제과, 제빵기능사는 실기 접수가 시험보다도 어렵다. 경쟁이 거의 대학교 수강신청급이어서 말이 상시지 회차 접수 시작 당일 3~5분 안에 마감되는 판국이다.[11] 특성화고등학교 필기면제 검정에 응시했으나 불합격한 경우 졸업 후 2년간 필기가 면제된다. 하지만 특성화고 필기면제 검정에 응시했다가 불합격한 그 종목에 한정되며 이 경우는 일반인 필기면제자로 취급되기 때문에 특성화고 필기면제 검정에 재학생들과 함께 응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성화고 필기면제 검정으로 전기기능사에 응시했는데 불합격한 경우 졸업 후 2년간 전기기능사의 필기가 면제되고 그 기간 동안 일반인 실기 검정에 응시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또한 다른 기능사 종목을 보려면 필기부터 시작해야 한다.[12] 공유압기능사의 경우 수험인원이 연간 4,000명 이상이 되었으나 3회만 실시한다...였다가 4,000명 이상을 2년 연속 달성한 2017년 이후(2018년 1회 기능사부터) 4회 실시하게 되었다. 1번만 넘는다고 되는 게 아니라 2년 이상 연속되어야 하는 듯.[13] 용접기능사 같은 경우는 취업할때 자격증 보여주며 용접할 줄 안다고 하면 전부 비웃는다는 소문이 돌 정도. 실제로 용접의 경우 최소 기능장 정도는 취득해야 그나마 같은 동료로써 인정해준다. 실무현장에서 사용되는 기구나 기술과 기능사 실기 때의 기구나 기술은 큰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어찌보면 당연한 일. 전기기능사 등의 경우에도 산업체에서 하는 배선과 많이 달라서 전기기능장이 선호된다. 전기(산업)기사는 실기가 작업형이 아닌 필답형으로 진행되는 관리감독특화형 자격증이라 논외.[14] 요새는 과정평가형 담당학교에 네임벨류 있는 정도의 수준높은 공업고등학교가 포함되는 추세여서, 기계과 및 산업설비 등의 학과에 과정형 산업기사평가를 신설하여, 내부평가는 학교내부 수행평가 점수로, 외부평가를 진행 및 산출하여 평균 80점 이상만 받으면 산업기사 자격증을 준다.[15] 주특기 관련 종목에서 군 경력을 인정해 준다. 참고로 훈련소 기간은 제외되고 후반기교육부터 경력으로 인정된다. 자신의 특기가 어느 분야의 경력으로 인정되는지는 큐넷을 찾아보자. 동일분야 외에도 유사분야 자격증도 응시가능하기 때문에 기술병으로 입대하면 대체로 경력이 인정된다. 참고로 그냥 소총수도 기계 관련 경력으로 인정하기에 기능사 따고 소총수로 입대해도 1년 후에 전기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위험물산업기사 등을 응시할 수 있다. 어떤 특기에서도 반영 안해주는 듣보잡 기능사가 아닌이상, 기능사가 있다면 특기병으로 가지 소총수론 잘 안가겠지만 말이다.[16] 심지어는 간혹 은탑산업훈장 이상의 산업훈장도 받는 학생도 있다.[17] 근데 이것도 케바케인게 계열마다 관련자격증 수가 천차만별이여서 6개 이상 딸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들어 본인이 목재관련 학과면 가구제작기능사,목공예기능사 이렇게 두개밖에 못 따는것이다[18] 예를 들어 전기공사산업기사와 항공산업기사는 육군에서 시행하지 않고 공군에서 시행하기 때문에 육군 항공대 등에서 공군으로 위탁응시하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물론 지게차, 용접 같은 메이저 종목은 전군에서 시행한다.[19] 대다수의 부대에서는 군인검정에 합격한 병사들에게 포상휴가나 그에 상응하는 대가 등을 준다.[20] 주로 기행병과 간부들이나 전투병과에서는 공병이랑 통신병과 인원들이 응시한다. 그 외의 병과는 자격증이 그렇게 큰 우위를 점하지 않는다. 그리고 모든병과가 장기선발에 1순위로 꼽는 것은 체력이다. 아무리 자격증과 표창을 따도 체력이 2~3급 나오면 장기선발은 어림도 없다.[21] 여기에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학생과 부사관 학군단 후보생도 포함된다.[22] 항공사진기능사 같은 경우 자재 수량 문제로 일부 특기에 한해서 응시할 수 있다. 또한 군인검정에 기사 이상의 종목은 없고 기능사/산업기사, 그중에서도 일부만 포함되어 있기에 다른 종목 (예를 들면 산업안전산업기사, 공유압기능사 등 응시가능종목에 없는 경우)을 응시하고자 하면 외출 혹은 휴가중에 개인적으로 응시해야 한다.[23] 예를 들어 롤러운전기능사 같은 경우 공군에선 제91항공공병전대에서만 시행하여 전국 어느 공군 부대에서 복무하든 모든 응시자가 91전대가 있는 충주로 가야 한다.[24] 위험물기능사/산업기사처럼 필기 실기 모두 필답형이라도 모든 부대에서 시행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25] 재시험자에게 취득 비용을 지원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이다.[26] 이를 이용하여 어차피 다음 국기검 때는 전역하고 없을거라며 일부러 멀리 출장가서 보는 종목을 신청하고 공부는 안 한 채 부대 밖으로 나가는 것에만 집중하는 병장들도 실제로 있다. 물론 휴가가 모자라다면 병장이고 뭐고 열심히 보겠지만.[27] 대체로 공고 전기•전자과 혹은 전자전기공학과 출신 대학생이 해당 특기로 가기 때문에 크게 의미는 없다. 공고 출신이면 이미 고등학교 때 전기기능사를 딴 상태로 입대했을 가능성이 크고, 대학생이면 전기기사나 산업기사를 따지 굳이 전기기능사를 취득할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 게다가 기능사를 가지고 입대하여 전력설비 특기를 받았다면 특기학교 입교일부터 1년이 지나면 큐넷에서 전기산업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를 국방부 국기검으로 전기공사산업기사를 응시할 수 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