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코드 서버 테러 봇 - diseukodeu seobeo teleo bos

[디스코드 봇 TIP!] Wick - 디스코드 테러를 신경쓰지 않고 편히 잠들 수 있도록 돕는 보안 봇!

김만찬2021. 8. 5. 0:00

[디스코드 봇 TIP!] - Wick

디스코드 테러를 신경쓰지 않고 편히 잠들 수 있도록 돕는 보안 봇!

[초보 디스코드 TIP!] 봇 추가 을 적고 생겨난 [디스코드 봇 TIP!] 입니다.

디스코드에 봇이 있다는 건 알지만 잘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해 보고 싶다는 사람들을 위한 글입니다.

만약 다른 봇도 알고 싶다면 댓글에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떤 기능인지, 어떤 이름인지 적어주세요. 저도 하다 모를 수도 있어 확답은 드릴 수 없겠지만요...)

오늘 소개할 봇은"Wick" 입니다.

디스코드 서버를 작게 운영하던, 크게 운영하던 서버 테러에 대한 걱정이나, 문제는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도배를 하거나, 개인DM으로 이상한 정보나 홍보를 했었지만,

봇 개발이 보편화되면서 강도가 높은 테러들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서버의 인원들을 제거하거나, 활동이 불가능하게 채팅방을 모두 수정 및 삭제를 하거나 하는등)

서버장의 입장에서 이런 테러들을 방지하기 위해서 디스코드에 있는 보안을 신경쓴다던지 노력을 하는데,

모든 테러를 막아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서버 테러를 막아주는 봇이 있습니다. (봇을 사용하던, 개인으로 하던)

* chrome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 Wick Bot 공식 홈페이지 : //wickbot.com/

2. Discord Wick Bot 페이지 (top.gg) : //top.gg/bot/536991182035746816

1. Wick Bot 공식 홈페이지

-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보라색 색깔의 INVITE를 누르면 아래 사진처럼 창이 뜹니다.

2. Wick Astro Bot 페이지 (top.gg)

- 왼쪽 상단 Invite Statbot 를 누르시면 아래 사진처럼 창이 하나 뜹니다.

봇을 넣고 싶은 서버를 선택한 후에 승인을 누르시면 서버에 봇이 입장하게 됩니다.

Wick 봇의 기본 명령어 형태는 "<> (명령어)" 입니다.

한 번 설정하면 많이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추가적으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봇 홈페이지에 투표를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래야 대부분의 설정을 할 수 있음)

글이 꽤 길기 때문에,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쭉 읽어도 좋겠으나

특정 구간만 찾으시려는 분은 CTRL + F 를 통해서 기능을 찾기를 바랍니다. (예. Anti Nuke)

보안만을 위한 봇이니, 어떤 기능이 있는지 확인해봅시다.

첫 번째 기능은 Anti Nuke 입니다.

테러 중에 서버 인원들을 한꺼번에 강퇴시키고, 벤을하고, 채팅방을 삭제하고,

채팅방을 만들고 테러집단의 이름을 적고, 역할을 만들고 제거하는 테러가 있는데, 그것을 막아주는 기능입니다.

사진을 보면 킥이 너무 빨리 되니 Wick 봇이 막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기능은 Auto Mod 입니다.

스팸 메시지, 멘션 스팸, 이미지, 이모지, 도배 스팸, 타 서버 초대 홍보 등 다양한 메시지 테러를 막아주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에 걸리게 되면, 침묵에 걸려 채팅을 치지 못하게 됩니다.

사진을 보면 30분 동안 채팅을 못치게 해놓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세 번째 기능은 Verification 입니다.

최근에는 많은 서버를 보면, 인증 기능을 도입해서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인증하는 곳도 있었고, 인증!을 통해서 하는 경우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기능은 그런 홈페이지, 명령어를 통해서 인증하는 것이 아닌 누구나 한 번쯤은 보았던 보이는 문자를 입력해서 인증하는 기능입니다.

서포트 서버에서 이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데, 인증을 하기 전까지는 다른 채팅방이 보이지 않더군요...좋은 기능이었습니다.

(심지어 시간 안에 작성해야해서 인증이 확실한 느낌을 받았네요.)

네 번째 기능은 Join Gate 입니다.

들어오는 사람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이미 많은 봇들이 사용하고 지원하는 로그 기능이 아니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더 많은 정보를 보여주고,

어떤 부분까지 완료가 되었는지 추가적으로 보여줍니다.

(예. 서버에 입장, 인증이 완료되었는지, 예전에 처벌이 되었던 적이 있었는지 등)

아래에 있는 것이 입장을 했을 때 보여주는 정보들입니다.

Member: Denis#1281 [385117340028764165] - 이름, 태그, ID를 보여줍니다.

Creation:Nov 28, 2017 6:18 PM[4 years ago] - 언제 가입했는지 보여줍니다.

Suspicious:
- 의심 맴버 (개발자에게 물어본 결과 이력 기록, 프로필 사진, 계정 나이, 니트로 같은 정보를 가지고 의심스러운 계정을 찾는다고 합니다. 항상 나쁜 계정은 아니지만 조금 더 조심해야 하는 계정이라고 하네요.)

------------------------------------ 까지가 대부분의 봇들이 보여주는 정보라면, 아래는 조금 다릅니다.

More Details:

1) Member Quarantined?
- Verification에서 봤던 인증 채팅방에 입장했나?

2) Member Sent verification?
- Verification 채팅방에서 검증했는가? (채팅을 쳐서 인증했는가?)

3) Verification Passed?
- 인증 통과 여부

4) Member Punished?
- 처벌 받은 맴버인가?

5) Member Removed From Quarantine?
- Verification 채팅방에서 인증 후 Verification 채팅방에서 나왔는가?

(채팅방이 안보이는가?)

인증을 할 때 까지의 순서와 그 사람이 어떤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추가로 처벌 내역도 보여줍니다.

어떤 맴버인지, 이유는 뭔지, 처벌은 잘 되었는지 등 정보가 보이네요.

위 사진을 보면, 너무 어려서 mute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너무 어리다는게 무슨 뜻이냐면, 계정을 만든지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w!joingate 명령어를 통해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기능만 있어도 봇 여러개 들어오는건(Join Raid) 차단 가능하겠네요.)

다섯 번째 기능은 Panic Modes 입니다.

프리미엄 기능이라 직접 실험해보지는 못했지만, 핵 스크립트부터 셀프봇까지 공격이 시작하면 서버를 폐쇄하고 백업 파일로 되돌리는 기능이 있고, 레이드가 시작되면 바로 제거를 한다는데...정확한 기능을

여섯 번째 기능은 Join Raid 입니다.

이상한 봇들이 비슷한 닉네임과 프로필을 가지고, 100~120명 정도가 갑자기 들어오는 테러 방식이 있는데 이 테러를 막아줍니다.

이 테러는 그렇게 피해를 받지는 않는데 유령회원이 100명 정도 생기는거라, 차단하는게 상당히 귀찮습니다.

(놔두었다가는 어떤 테러를 할 지 모르기에...)

프리미엄 기능이긴 한데, 대부분 생성 후 날짜가 0~1일이라 네 번째 기능(Join Gate)을 통해서도 막을 수 있을 것 같다.

일곱 번째 기능은 Quarantine 입니다.

위험한 행동을 했을 때, 격리를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위험한 행동을 한 사람은 격리방에 들어가 다른 채팅방을 보지 못하게 됩니다.

활동 자체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격리된 인원을 도와주는 사람도 같이 격리방에 들어간다고 설명되어 있네요.

저희 KDD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노출금지라는 기능인데, 상태 메시지에 타 서버 링크가 있으면 자동으로 @노출금지 역할을 받게 되고,

다른 채팅방과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것과 비슷한 기능인 것 같은데,

저희는 타 서버 링크이고, Wick은 위험한 역할을 추가하려고 할 때 격리를 해버립니다.

(노출 금지 역할이 궁금하시면 서버에 들어오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discord.com/invite/C6w3fY4)

정말 다양한 기능이 있는 Wick였습니다. 그럼 설정을 해봐야겠죠?

먼저 봇을 서버에 초대하면 기본적인 서버 정보, 봇 설정을 위한 지표, 최근 활동이 보입니다.

봇 설정은 오른쪽에 위치한 지표를 가지고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사진 : 설정할 때 해야하는 일)

어떤 것을 설정해야 할 지 찾아다니지 마시고, 순서대로 해결하면 자연스럽게 모든 설정이 끝날 겁니다.

그 아래에는 세부적인 설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너무 설정이 많아서, 간단한 설명 후에 사진에 있는 설명으로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carl-bot 이후로 이렇게 많이 적은건 오랜만이네요.)

이 페이지의 제목은 (카테고리) (설정) 으로 읽어주시면 됩니다.

하단에 있는 사진으로 예를 들면 Static 카테고리 안의 Roles 설정 페이지 입니다.

홈페이지를 동시에 보고 있으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Static Roles 입니다.

음소거, 격리, 관리자, 주로 사용하는 역할을 설정하는 페이지입니다.

이런 것들을 입력을 잘해야 봇이 잘 작동하니 설정 잘하시길 바랍니다.

Static Channels 입니다.

어떤 채널에 로그, 많이 사용하는 채널, 인증 채널을 설정할 지에 대한 페이지입니다.

Static Users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나, 추가적인 서버 소유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2. Whitelist

도배, 스팸, 타 서버 링크 등 화이트 리스트 설정

이 페이지의 제목은 (설정) (카테고리) 으로 읽어주시면 됩니다.

하단에 있는 사진으로 예를 들면 Whitelist 카테고리 안의 Spam 설정 페이지 입니다.

Spam Whitelist 입니다.

스팸을 사용할 수 있는 맴버, 역할, 채널, 카테고리, 웹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ing Whitelist 입니다.

스팸 멘션을 할 수 있는 맴버, 역할, 채널, 카테고리, 웹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Advertising Whitelist 입니다.

타 서버 링크를 올릴 수 있는 맴버, 역할, 채널, 카테고리, 웹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Quarantine Whitelist 입니다.

격리 인원을 관리할 수 있는 맴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Public Roles Whitelist 입니다.

공개된 멘션을 사용할 수 있는 맴버, 역할, 채널, 카테고리, 웹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Miscellaneous 입니다.

접두사 변경이나 다른 유틸리티 기능, 봇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의 제목은 (카테고리) (설정) 으로 읽어주시면 됩니다.

하단에 있는 사진으로 예를 들면 Anti Nuke 카테고리 안의 General Settings 설정 페이지 입니다.

Anti Nuke General Setting 입니다.

Anti Nuke 기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Anti Nuke Caps 입니다.

Wick 봇이 보고 관리할 수 있는 부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의 제목은 (설정) (카테고리) 으로 읽어주시면 됩니다.

하단에 있는 사진으로 예를 들면 Auto Mod 카테고리 안의 General Setting 설정 페이지 입니다.

Join Gate 입니다.

입장 가능한 사람들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이 기능이 진짜 대단합니다. 대부분의 테러를 막을 수 있는 기능이라고 생각되네요.)

Join Raid는 프리미엄 기능이라 볼 수가 없었습니다...ㅠ

Verification 입니다.

인증 관련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Wick" 봇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Wick 봇을 사용한다고 해서 모든 테러를 막을 수는 없습니다.

봇을 사용하면 조금 더 편하게 있을 수 있겠지만, 새로운 테러 방식도 나오고 있고 한 번 당해봐야 구조도 알 수 있기에...

서버를 관리하시는 분들이 그만큼 관리를 열심히하고, 신경을 써야합니다.

서버를 관리하고 운영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가장 좋은 보안은 서버의 역할 관리라고 생각합니다.

봇을 초대할 때 권한 설정이 귀찮아서 대부분 관리자 권한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관리자 권한을 가지게 되면 봇 개발자가 나쁜 마음을 가지고 테러를 하면 속수무책으로 당해야 합니다.

꼭, 관리자 권한을 넣어야 한다면 디스코드에서 인증을 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있는 봇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래도 봇을 사용해서 테러에 약간은 마음을 놓을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