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환기시스템 모기 - apateu hwangisiseutem mogi

[중소기업투데이 황무선 기자] 아파트 환기필터가 오히려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건축법 개정으로 2006년 이후 신설되는 100세대 이상의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경우 환기장치의 설치가 의무화 됐지만, 관리 주체인 소비자들의 인식이 낮아 대부분이 필터 교체 없이 사용되거나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는 것으로 소비자원의 조사결과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 이하 소비자원)이 수도권 아파트 24개소를 대상으로 최근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중 약 83%가 위생과 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아파트가 환기필터를 교체하지 않고 사용중이었고, 이중 일부 시설은 환기 필터 자체가 없이 사용되는 곳도 있었다.

정부는 미세먼지 등 대기질 악화와 환경오염 등 문제로 깨끗한 실내공기 유지를 위해 환기장치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을 통해 2006년부터 건축되는 100세대 이상 아파트에 환기설비 설치를 의무화 했다. 하지만 이같은 제도 정비에도 불구, 막상 소비자들은 오히려 환기장치로 인해 더 오염된 환경에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현행 환기설비의 설치 의무는 건설사업자에게 부과되나 이후 이용·관리 책임은 전적으로 소비자에게 있는데다, 환기장치에 대한 별도 안내나 국가나 지자체 등의 홍보가 없다보니 관련인식이 낮아 주기적으로 이뤄져야할 필터 교체 등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소비자원이 수도권 아파트 24개소를 대상으로 지난해 7~12월까지 인지도, 사용빈도, 필터 관리주기 등 아파트 환기설비의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대상 아파트 24개소 중 20개소(83.3%)에서 프리필터와 공기필터(미디엄ㆍ헤파)에 다량의 먼지가 쌓여 있는 것이 확인됐고,  이중 심한 경우에는 곰팡이까지 확인되는 등 위생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아파트 환기설비는 탁한 실내공기를 밖으로 내보내고, 새로운 바깥공기를 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설비를 말한다. 국토교통부 ‘환기설비 유지관리 매뉴얼’에 따르면 환기설비 필터의 권장 교체주기는 약 3~6개월로 약 2000~4000시간마다 교체가 이뤄져야 하지만 이번 조사결과 사실상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이러한 내용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등 현실 운영상의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조사대상 20개 필터 모두가 최소 2년에서 최대 9년까지 교체되지 않았다. 또 조사대상의 주 평균 환기 횟수는 약 3회 정도로 1회당 평균 환기 시간은 약 1시간 40분에 불과했고, 4개소의 경우는 환기설비 내에 공기필터가 없는 상태였지만 거주자들은 해당 사실을 인지하지도 못하고 있었다.

환기설비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에서는 7개소의 거주자는 세대내 환기설비 위치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고, 14개소의 거주자는 환기설비 내 필터 교체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이외 환기설비를 소비자가 인지하고 있는 경우 역시 18개소의 거주자는 필터에 내구연한이 있다는 사실 자체를 알지 못해서 2년 이상된 필터를 그대로 사용 중이었다.

아울러, 조사대상 24개소 중 20개소는 관리사무소의 환기설비 가동 안내나 주기적인 필터 교체에 대한 안내가 이뤄지지 않았는 등  필터의 유지관리상 소비자 인식이 낮은 것이 문제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소비자원은 필터의 공기정화 성능이 떨어질 경우는 오히려 환기설비가 없는 경우와 비교해서도 내ㆍ외부의 미세먼지에 보다도 오염된 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며 건강상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아파트 환기장치 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 국토부에 ‘아파트 환기설비 유지관리 매뉴얼’에 대한 홍보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또 각 지자체에 조례 제정을 통해 공동주택관리규약 준칙 내에 관리사무소의 아파트 주민들에 대한 환기설비 사용ㆍ관리 및 주기적인 필터교체 안내를 의무사항으로 규정할 수 있도록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18년 기준 국내 아파트 세대수는 955만0326세대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신규 준공허가 및 건축된 아파트는 1916단지 127만0801세대에 이른다. 환기설비는 자연환기설비와 기계환기설비로 분류되며, 기계환기설비는 원형과 판형으로 구분된다.

이유는 두가지 인데, 거실에 앉아서 환기장치가 보이지 않아야 되고, 발코니 종단부에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올 겨울 곰팡이가 생성되었다. 그래서 종단부에 건조한 공기를 공급할 요량으로 발코니 종단부 끝에 환기장치를 두기로 구상하였다.

거실과 장치의 사이에 있는 벽체에 구멍을 내면 가장 쉽게 덕트를 해결할 수 있었을 텐데.. 콘크리트 벽체에 구멍을 내기위해서는 전문적 장비가 필요하고, 모두가 같이 사는 공동주택 벽체에 함부로 구멍을 낼 수도 없는 노릇이라, 작업이 힘들더라도 이사갈 때 깨끗이 원상복귀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물론 덕트 작업 중 후회한 부분이기도 하다.)


집의 면적이 84㎡ 이고, 천장고가 2.4m 이므로, 체적은 84*2.4 = 201㎥ 이다.

법적으로 시간당 0.5회의 환기가 되어야 하므로 필요환기량은 201*0.5 = 100㎥

가족은 모두 3명이므로, 최대 필요 공기량은 3명*30㎥/h = 90

100 > 90 이므로 표준풍량은 100 ㎥/h = 100 CMH 

여기에 최대풍량을 위해 1.3배를 곱하고, 기외정압손실을 고려하여 10%를 추가하면 필요 기기 용량은 다음과 같다.

100 * 1.3 * 1.1 = 143 CMH

그러므로, 기기용량은 150 CMH 이상이면 만족한다.

물론 각 실에 모두 공기를 공급할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용량이 그 보다 훨씬 적어도 되나, 일단 정석대로 계산하였다.

다른 글에서도 밝힌 바 있지만 온도교환효율이 85% 내외 또는 그 이상을 보이는 제품을 골라야 실내 공급온도가 안정적일 수 있고, 동절기 결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환형으로 선정을 하였다.

다행히도 국내 회사 중 환형을 만드시는 2개 회사에서 지속적으로 협회를 방문하셔서 환기장치가 개선되어야할 방향에 대한 질문과 협회의 조언을 흔쾌히 받아주셔서 매년 기기의 품질이 높아지고 있다.

분명 많은 부분에서 저보다 훨씬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계신 회사이고 전문가이시나, 관리자의 엉뚱하고 짓궂은 조언을 항상 겸허히 받아 주시니, 항상 많이 배우고 감사해 하고 있다.

또한 아무도 쳐다봐 주지 않는 단독주택 시장을 위해 기술개발을 하고 계시니, 감사할 따름이다. 그러나 그와 함께 가격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어서, 다른 제품과 대형 시장에서 경쟁하기가 쉽지 않을텐데 걱정이 많이 된다.

아무쪼록 이 노력이 널리 알려져 돈도 많이 버셨으면 좋겠다.

환형 중에 가장 최근에 개정된 제품으로 선정을 하였는데 일종의 마루타 노릇도 할 요량이었고 환형에서 취약했던 필터 부분이 보강된 제품이라 사용해 보고 싶은 호기심도 있었다.

협회 관리자가 직접 사용할 꺼라 하면 혹시 팔지 않으실 지도 몰라서 노파심에 협회의 다른 분 이름으로 주문을 하였는데.. 알고 계실지는 확인을 하지 못했다.

보기보다 많이 무겁다. 준중형트렁크에 겨우 들어간다.

이 모델은 벽체 설치를 위해 외기와 내기가 모두 한쪽 방향으로 나 있는 제품이다.

특히 덕트는 주문을 잘못해서 너무 무거운 제품이 왔다. 덕트의 특성상 반품과 교환이 어려워 그냥 하기로 마음먹었는데 설치하는 내내 후회가 된 부분이다.


설치될 장소의 전체 모습이다.


환기구를 어떻게 연결할지의 모습이 대충 그려진다.


덕트는 발코니 천장을 통해 연결될 예정인데 중간에 보가 있어 가장 난해한 구간으로 예상된다.

이 부분의 모양이 좋지 않을 경우 가족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므로 신중히 처리되어야 하는 구간이었다.



50mm XPS 단열재에 덕트 크기 만큼의 구멍을 냈다.

가정에서 가장 쉽고 현실적으로 접근가능한 유일한 방법이었다.

물론 집 외관이 조금은 우습게 보일 수도 있으나, 영구설치물이 아니고 이사갈 때 원상복구해야 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조금 확대해서 찍은 사진이다.

구멍은 사무실에서 미리 뚫어 온 것인데.. 나중에 글을 적겠지만 크기를 잘못 산정해서 결국 다시 손을 을 봐야 했다.


기기를 설치할 장소로 이동한 모습이다. 대강의 점유면적과 덕트 길이를 예측하기 위해 옮겨 놓았다.

창문을 조금 열고 가설치를 해본다. 크기는 대충 맞았다.

작업 내내 중국발 미세먼지가 심해 마스크를 쓰고 했으나, 아직도 목이 칼칼하다.


50mm 를 선택한 것은 결로온도를 피하기 위한 최소한의 두께이기도 했지만, 작업의 용이성과 창호 프레임과의 접속을 고려하여 선택한 두께이다.


프레임의 골 속으로 단열재를 밀어 넣기 위해 대보고 실측을 하였다.

그리고 열리는 창호와의 접속면을 잘라내기 위해 열리는 창의 끝 부분의 치수도 쟀다.

실측한 치수를 근거로 단열재 마구리를 절단한다.


절단한 후의 모습이다.


자르는 요령은 칼날을 빼내어 자르고자 하는 깊이 까지 도달하는지를 확인한 후 절단하면, 원하는 깊이까지만 딱 절단이 가능해진다.

치수를 재면서 안 사실이지만, 주문할 때 50mm 를 주문했으나 두께가 전체적으로 맞지 않았다.


가장 얇은 부분이 47mm 를 보인다.

재료를 아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눈물겨운 노력이 보인다.

50mm 에서 이정도 오차를 보이니 ... 우리나라 건축... 갈길이 아직도 멀고 험하다.


프레임의 골 깊이와 폭을 고려하여 마구리를 모두 절단한 후의 모습이다.

절단한 면이 맞게 되었는지 임시로 한번 대 본다.

하부의 일부는 남겨두었는데, 창호의 높이가 2,200mm 였으나, 일부러 2,400mm 를 구입하지 않고 1,800mm 를 구입하였다.

이는 프레임의 골 속으로 단열재를 밀어넣게 되므로 전체 길이를 모두 한꺼번에 만들경우 프레임속으로 껴넣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이유는 다음 사진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단열재 하단의 다른 하나의 조각이다.

이 역시 프레임속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 마구리를 절단하였다.


사진과 같이 상부를 먼저 설치한 후 하부를 옆에서 밀어넣어야 설치가 된다. 

단열재가 프레임 속에 완전히 밀착되어져 있기 때문에 전체를 한장으로 할 경우 프레임속으로 넣을 수가 없다.

원래부터 하나의 몸으로 태어난 것이 증명된다. ㅎㅎㅎ


비록 작업 중 상처가 있었으나, 대세에 지장은 없었다.

실내측으로 들어오는 구멍을 150mm 로 뚫어 놓았는데, 덕트 구경이 100mm로 확정되면서 다시 시공을 해야 했다. 구멍을 내는 모습도 남길 수 있어 불행 중 다행인 듯 했다.

먼저 컴퍼스로 자국을 낸다. 덕트의 외경을 기준으로 해야겠기에 덕트를 먼저 측정하고 그 크기에 맞추어야 한다.

먼저 칼로 어느정도 깊이까지 커팅을 한다. 이 때 너무 칼날을 길게 할 경우 원형이라 칼날이 부러질 수 있으니 너무 깊게 넣지는 않는다.

수박 속 파먹듯이 잘게 잘라내는 수 밖에 없다. 

드릴에 설치하는 원형 커팅기가 있기는 하나, 단열재가 너무 무러서 커팅기를 사용할 수는 없었다.

사진 처럼 내부부터 외곽으로 파들어 가면 된다.

반대 쪽 모습을 자주 살펴야 한다. 반대 쪽에서 원의 경계를 넘어 가기 쉽기 때문이다.

만약 기혼자 시라면 이 시점에서 한번 청소를 해 주어야 한다. 여성 분들이 이 모습을 보면 환기고 뭐고 국물도 없을 수 있다.

이 것은 덕트와 기기 사이를 묶어 주는 일명 "타이"이다.

150mm  용과 100mm 용 두가지를 구입하였다.

기기에서 외기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EA, OA 에 사용될 덕트이다.

이 보다 단열이 더 잘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면 좋으나, 구간이 짧고 외부에 결로가 생겨도 발코니라 이 정도로 타협을 보았다. (돈도 없구...ㅜㅜ)

속에 알루미늄 주름관이 있고, 그 외부에 폴리에틸렌 단열재가 싸여져 있고 그 외부에 다시 알루미늄 주름관이 싸여져 있다.

이 주름관은 관내 마찰이 크기 때문에 지금과 같이 매우 짧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면 피하는 것이 좋다. 손실이 너무 크고 주름 사이에 먼지도 많이 쌓이기 때문이다.

환기구 뚜껑은 스테인레스제품과 알루미늄제품 두가지가 있는데, 개인적으로 알루미늄제품을 선호한다. 특별한 이유가 있다기 보다는 가벼워서 좋다.

우리나라의 환기구는 모두 이런 모양을 사용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이 형태가 너무 흔할 뿐더러 기능적으로 물끊기가 되지 않아 환기구 아래에 지속적인 눈물자욱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좋아하질 않는다. 하지만 수입산 외에는 대안이 아직 없다. 가난한 우리 협회가 돈을 벌면 이 환기구 뚜껑을 디자인해서 제품으로 만들어볼 생각도 있다. (어느 세월에....)

안쪽에서도 얼마큼의 여유가 있는지 확인해 본다.


역시나 단열된 주름관이 통과하기에는 무리다. 좀 더 넓게 뚫어야 했다.

위의 사진에서 마무리되는 모습을 남기지 못했는데.. 구멍을 내는 마무리는 아래 사진과 같이 하면 된다.

잘려진 깊이까지 옆쪽에서 잘라낸다. 이 작업을 몇번 반복하면 깨끗하게 잘라낼 수 있다.

겉면의 단열재와 주름관을 잘 접고, 철재타이로 잘 묶어 준다.

그런 후 드라이버로 조여주면 빠지지 않게 된다.


단열재가 조금 삐져 나오더라도 크게 상관없다.

이제 빠져 나온 부분을 잘 다시 넣고 가조립을 해본다.


이제 필요한 만큼을 남기고 주름관을 잘라야 하는데.. 우선 칼로 길게 흠집을 낸다.

뒤에 다시 나오겠지만, 칼로 끝까지 다 자르려 하면 속이 매우 거칠게 잘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칼로 흠집만을 내고 나머지는 가위로 자르는 것이 좋다.


주름관의 강성을 위해 알루미늄속에 철사가 감겨져 있어서, 가위로 다 잘라낸 후 니퍼를 이용하여 철사를 절단하면 된다.


당연하지만 자르기는 쉬워도 결코 다시 붙지 않는다. 그러므로 길이 계산을 잘 해야 한다.

나가는 입구는 상관없으나 들어오는 입구는 여름에 모기 등 작은 곤충이 바람에 딸려 들어올 수 있는데, 환기구 뚜껑에도 그릴이 있으나 이 것이 너무 넓어 이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물론 내부의 그 복잡한 통로와 필터를 모기가 통과할 확율은 거의 없으나 만에 하나를 위해 모기장을 씌우는 것이 좋다.

모기장을 쉽게 설치하는 요령은 고무줄로 모기장을 일단 묶어 주고....

고무줄을 넘어 있는 나머지를 가위로 잘 오려내면 된다.

그리고 앞서의 예와 같이 주름관의 내부 관부터 잘 씌운 후....

역시 남는 길이는 잘라 내는데.. 이 정도 크기만 칼로 자른 후 나머지는 가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주름관의 표면 알루미늄은 매우 얇아 이동 또는 작업 중 잘 찢어 진다.

그러므로 알루미늄테이프를 이용하여 찢어진 부분을 매워야 한다. 이 사이로 습기가 들어가 내부에 결로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안쪽에서의 고정(임시)을 위해 알루미늄테이프를 붙혀 준다.

창호 프레임과 만나는 부분의 기밀성을 높히기 위해 방풍지를 대고 있는 모습이다.

모서리는 사진과 같이 조금 부풀게 접어 주어야 모서리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 후 외부의 단열재와 환기구 뚜껑사이에 실란트 처리를 하여 접착과 방수처리를 동시에 한다. 내부에 덕트와 매우 강하게 묶여져 있으므로 사실상 접착은 의미가 없다. 그저 덜렁대는 것만 고정하는 것이다.

실란트 코킹에 익숙치 않으신 분은 대충 바른 후 사진과 같이 종이 등을 접어서 접힌 모서리로 코킹선을 따라 문질러 주면 깔끔하게 마무리가 된다.

쭉~ 한번 밀고 나가면 마감면이 깨끗해 진다.

하지만 처음하면 이 것도 쉽지는 않다. 굳기 전에 다 밀어내고 다시 바르면 되기도 할 뿐더러 다른 곳에 발라서 한번만 연습을 해보면 쉽게 된다.

발코니 난간대에 환기구 뚜껑이 걸려 들어가질 않는다.. ㅠㅠ 이런.. 낭패가..



결국 상부의 일부를 잘라내고 다시 붙혀서 높이를 맞추었다. 난간대를 완전히 벗어나면 좋겠지만, OA 와 EA 가 너무 가까워 져서 혼입의 우려 때문에 난간대 중간의 빈 공간에 높이를 맞추어야 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