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USB 디버깅 안될 때 - andeuloideu USB dibeoging andoel ttae

ி 설정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스마트폰 USB로 연동하려면
우선 스마트폰에서 USB 디버깅을 활성화해야 한다.

안드로이드 폰은 제조사마다 설정을 바꿔놔서 위치가 다를 수 있다.
활성화하는 방법은
설정에 소프트웨어 정보 또는 휴대폰 정보에서 빌드 번호를 찾고 이 빌드 번호를 일곱 번 누르면
개발자 옵션 메뉴가 활성화된다.

그 후 개발자 옵션으로 이동하여 USB 디버깅 활성화를 클릭한다.

Windows PC에 안드로이드 기기와 USB로 연결을 하면 윈도에서 USB 장치를 인식하고 알맞은 드라이버를 자동 설치한다.
드라이버가 정상 설치되지 않는다면 안드로이드 기기 제조사 홈피에서 드라이버를 다운받는다.

안드로이드 기기와 USB 연결 설정이 끝났다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Run App을 실행한다.
(메뉴 'Run' > 'Run App' 또는 화면 우측 상단 녹색 Play 버튼 클릭)

ி 스마트폰 인식이 안된다면?

① USB 디버깅 재활성화
만약 USB 디버깅이 하얀색으로 비활성화 되어 있다면, 개발자 옵션을 off 시켰다가 다시 on 시킨다.
그리고 USB 디버깅 버튼을 클릭하면 USB 디버깅을 허용 여부를 묻고 RSA 키가 나오는데
이 컴퓨터에서 항상 허용을 클릭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그러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디바이스가 인식이 된다.

② 디버깅 권한 활성화
USB 디버깅 권한 승인 취소 버튼이 활성화 되어 있다면 클릭한다.
그러면 이전에 승인한 모든 컴퓨터에서 USB 디버깅에 대한 엑세스 권한을 취소하겠냐고 말하는데 여기서 취소를 클릭한다.
그리고 다시 USB 디버깅 버튼을 클릭하고 ① 방법처럼 따라 하면 된다.

ி 요약

① 개발자 모드로 설정(설정 - 휴대폰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 번호)
② 제조사에 맞는 드라이버 설치
③ 실행

사용환경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OS : Windows10 64bit
IDE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 1.5.1
Device : LG G2, 롤리팝(Lollipop)

윈도우10에서는 스마트폰의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해주기 때문에 별도의 드라이버를 다운받아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모든 스마트폰에 다 해당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내가 가지고 있는 LG G2와 삼성 갤럭시s2의 경우에는 바로 인식이 되었다.)

스마트폰(G2)을 연결했는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장치가 표시되지 않는다.

스마트폰 설정 메뉴의 [개발자 옵션]에서 [USB 디버깅] 옵션은 당연히 선택 한 상태. 여기서 몇가지 추가적인 설정을 해줘야 정상적으로 연결이 된다. 

스마트폰을 PC와 연결하면 기본적으로 '미디어 파일 전송(MTP) 모드'로 연결이 된다. 저 연결 모드를 변경해줘야 한다. '미디어 파일 전송(MTP) 모드'라고 표시 된 알림을 터치하자.

터치하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된다. 세 가지 연결방식 중 제일 밑에 있는 '사진 전송(PTP)'을 선택하자. PTP로 연결모드를 변경하게 되면 PC에서 스마트폰이 디지털카메라를 연결한 것 처럼 인식된다. 참고로 MPT와 PTP 두 모드 사이에 속도 차이는 별로 없다고 한다. (직접 테스트해서 확인해본 내용은 아니다.)

그리고 위 그림과 같이 "USB 디버깅을 허용하시겠습니까?"라는 팝업이 뜨면 [확인] 버튼을 터치하자.

그렇게 하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장치 선택 팝업화면에 해당 기기가 표시된다. 흔히 G2라고 부르지만 정식 명칭은 LG-F320이다. 

참고로 갤럭시s2 같은 경우에는 'USB 대용량 저장소'로 인식되기 때문에 G2 처럼 따로 연결방식을 설정해주지 않아도 된다.

처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하고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는 경우 대부분 AVD 가상 장치를 이용하여로 테스트를 진행 하는데 어느정도 완성이 되면 실제 핸드폰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해야 합니다.  이때 핸드폰을 개발자 모드로 설정 하였지만 컴퓨터에 연결을 해도 Android Studio에서 인식을 하지 못하여 테스트를 할 수 없는 상황을 격게 됩니다.  물론 어떤 기종의 스마트폰은 USB로 연결 하자 마자 쉽게 인식이 되는 경우도 있고 어떤 기종은 계속 오류가(오류라기 보다는 연결이 안됨) 발생 합니다.

위의 그림은 스마트폰을 USB로 연결하여도 디바이스를 찾지 못하고 가상 디바이스만 나타나는 현상 입니다.  이런 경우는 컴퓨터 운영체제 버전이 낮거나 업데이트가 안되어 스마트폰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스마트폰용 USB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아서 인식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확인을 하려면 스마트폰을 USB로 연결하고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설치] 창을 열어보면 오래된 운영체제 또는 업데이트가 안된 경우 드라이버를 찾지 못하여 계속 찾기를 반복만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 삼성폰으로 설명을 진행 하지만 다른 제조 회사 제품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면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을 하면 되는데 인식이 안되는 스마트폰은 제조사 마다 USB 드라이버를 제공하고 있으니 제조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통합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설치를 진행 하면 간단히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삼성 스마트폰 드라이버 다운로드 사이트 접속 주소 입니다.(각 제조사별로 작업합니다.)

//developer.samsung.com/mobile/android-usb-driver.html

SAMSUNG_USB_Driver_for_Mobile_Phones.exe 를 클릭 하면 드라이버 다운로드가 바로 진행되고 완료 되면 실행 하여 드라이버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설치 작업은 대부분 기본 설정된 버튼을 클릭 하면 됩니다.

여기 까지는 설치를 위한 설정 진행입니다.

이제 [설치] 버튼을 클릭 하면 드라이버 설치가 진행 됩니다.

설치가 진행 되고

설치가 완료되면 [마침] 버튼을 클릭 하여 종료 합니다.  경우에 따라 바로 장치를 인식하는 경우도 있고 컴퓨터를 재시작 해야 스마트폰을 인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는 Windows 7인데 다시 시작을 해야 인식이 되었습니다.  윈도우 창 우측에서 [드리이버 소프트웨어 설치] 창을 열어보면

계속 찾기로 빙빙 돌던 아이콘이 체크로 변하고 상태도 [사용 준비 완료]로 변경 되어 있고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 것 입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열어보면 데스트 디바이스가 가상 디바이스에서 연결된 실제 스마트폰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상황에 따라 가상 디바이스 또는 실제 스마트폰을 선택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