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기획 프로세스 - aeb gihoeg peuloseseu

IT

앱개발 기획 프로세스 한 장 정리

캐스팅엔 IT 매니저 2021-05-13

#앱개발 #앱제작 #어플개발 #어플제작 #앱기획 #wbs #기능정의 #정보구조도 #플로우차트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화면설계 #프로토타입

캐스팅엔 안전거래 보장

본질적인 편리함 안심된 보증보험 안전한 대금보관 원활한 분쟁조정 준비된 피해보상

핵심가치로 고객 만족과 서비스를 증명합니다

대행사,외부전문 업체를 찾고 거래하는 어려움이 있으신가요?

실력 있는 전문업체를 찾고, 제안 받고, 만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른 입찰 진행은 절차 신뢰를 부여합니다.
캐스팅엔은 기업고객의 3가지 장애와 비용을 줄이기 위해 끊임없이 개선합니다

외부전문업체 매칭 고도화를 위한 전문업체 데이터 축적

실력 있는 외부전문업체를 매칭하기 위해
탐구하고 탐닉합니다.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생각합니다

안심 거래의 첫걸음 보증보험

기업고객께서 외부전문업체와 ‘일정 거래액’ 이상 계약 시
‘서울보증보험을 통해 ‘계약이행보증보험’을 무료 발급, 지원합니다.

거래기준발급 가능 거래액업무 특성별 발급보험 종류보험 지원
단일 거래액 3천만원 이상 계약이행보증보험, 하자이행보증보험 무료
8개월 약정액 5천만원 이상 계약이행보증보험, 하자이행보증보험
6개월 약정액 7천만원 이상 계약이행보증보험, 하자이행보증보험
1년 약정액 1억원 이상 계약이행보증보험, 하자이행보증보험

이행보증보험증권은 다음과 같은 장점과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1. 이행보증보험증권은 나중에 문제가 발행 할 경우 의뢰 기업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진다는 것을 약속하는 증서입니다
  2. 만일의 경우 업무 중 문제가 생겨서 기업과 파트너사의 계약이 해제되면 기업은 서울보증보험에 이행보증보험증권의 금액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이행 보증보험증권의 금액은 보통 계약금액의 15~20%선에서 결정됩니다
  4. 기업이 서울보증보험에 이행보증보험금액을 청구할 경우 상황에 따라 서울보증보험은 보상액의 감액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5. 이후 발생하는 보상 문제에 대해서는 증권계약주체(캐스팅엔/파트너사)에서 보증보험과 해결합니다

고객의 재산을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안전한 거래대금 예치 제도

업무 특성에 따라, 의뢰 고객과 파트너 합의를 통해
계약업무 시작 전, 기업고객이 캐스팅엔에 대금을 결제합니다.
계약업무 진행 중, 캐스팅엔이 대금을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계약업무가 완료되면 캐스팅엔에서 파트너사에 대금을 지급합니다.
프로젝트 결과를 확인 후 안전하게 대금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에스크로 제도란?

제3자(은행, PG사, 보험 등 에스크로 사업자)가 소비자의 결재 대금을 예치하고 있다가 상품배송이 완료된 후 그 대금을 통신판매업자에게 지급하는 전자거래안전장치로 법률에서는 결재대금 예치제도라고 합니다.즉,판매자와 구매자가 대금을 직접거래하지 않고 제3자(KSnet)같은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중계기관을 끼고서 대금을 결제하는 제도입니다.구매자가 알리다로부터 물품을 구매하기로 했으면,물품대금을 KSnet에 입금합니다. 물품대금이 KSnet에 입금된게 확인이되면 물품을 구매자에게 발송하고 구매자는 물품이 잘 도착했고,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시게되면 중계기관에서 예탁해 둔 대금을 알리다에 입금시키는 제도입니다.

예기치 않은 일들을 위한 중재 제도가 운영됩니다

원활한 분쟁조정

업무진행 또는 계약 관련 분쟁 발생시 캐스팅엔은 신속한 분쟁 처리를 지원합니다.

기업고객 이슈 접수 시,
기업간 거래 절차에 따라 업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해결 가능 솔루션을 찾습니다

기업과 파트너 양사 합의가 어렵다고 판단 될 경우
캐스팅엔 전문AM이 주관하는 3사 미팅이 이루어집니다.
3사 미팅에서는 양사간 입장/과정 검토/자료 검토를 통해
원만한 중재 결과를 이끌어냅니다

3사 합의가 도출되지 못할 경우 국내 유일의
국제상사중재기관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합니다.

고객의 손해를 허락하지 않는 보상프로그램

준비된 피해보상

계약이행보험지원, 에스크로 대금 제도, 분쟁조정 과정은 합리적인 기업 거래의
안전 장치입니다. 그럼에도, 소액 거래와 계약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를 대비해 별도의 피해보상규정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피해보상규정

이 적용된다는 것은 파트너사가 계약 이행을 하지 않은것을 의미합니다.

적용 대상의 예

  1. 계약 후 대금결제까지 완료된 업무가 특별한 사유없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
  2. 초기 진행하기로 계약한 내용에 따라 업무가 진행되지 않거나 서비스,제품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

적용 되지 않는 예

  1. 업무 계약이 정상 진행되었고, 실제 업무도 정상 완료되었으나 추가로는 진행하지 않겠다고 결정한 경우
  2. 업무 계약이 정상 진행되었고, 실제 업무도 정상 진행되었으나 고객이 원하는 업무범위 설정과 요청이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3. 참고 : 위의 모든 예는 공정위에서 제공하는 표준거래규정을 따릅니다.

피해보상 규정 자세히 보기 +

성공적인 기업 외주 업무를 진행 해 보세요

비교견적 신청

궁금하고 아쉬운 점 편하게 전화주세요

캐스팅엔 고객섬김센터 : (02) 1644-2653
E-mail :
Kakao ID 친구추가 : @castingn

전반적인 APP 서비스 런칭을 위해서는 크게 "기획 >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 배포" 의 단계가 필요합니다.

이를 좀 더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단계가 필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비스 구상 및 프로젝트 구성

1-1. 아이디어 정리

먼저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 타겟 사용자는 누구인지? (who)
   - 사용자의 니즈는 무엇인지? (what)
   - 가치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지? (how)
   - 목표는 무엇인지? (goal)

예를 들어 반려동물과 함께 동반 가능한 장소를 추천해주는 앱을 구상하고 있다면,

* 타겟 사용자
  반려동물을 키우는 남녀노소 & 내 반려동물과 일상을 함께 하고 싶은 남녀노소
* 사용자의 니즈와 제공 가치
  내 반려동물과 함께 갈 수 있는 카페/숙박 등 장소 정보 제공, 사용자들끼리의 정확하고 의미 있는 정보 공유
* 목표
  광고를 통한 수익, 연계된 장소와의 중개 수익

타겟, 사용자의 니즈, 제공 가치, 목표는 최대한 구체화하고 측정 가능하도록 수치화합니다.

1-2. 시나리오 정리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는 시나리오를 정리하며, 타겟별/시간대별/지역별로 구분해서 작성합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과 함께 동반 가능한 장소를 추천해주는 앱이라면,
   - Scenario 1 : 사용자가 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 Scenario 2 : 로그인을 하고, 반려동물을 등록한다.

   - Scenario 3 : 반려동물과 함께 갈만한 테마를 찾는다.

   - Scenario 4 : 정보를 분석하여 맞는 장소를 추천받는다.

1-3. 기능 리스트 작성

각 시나리오별로 필요한 기능의 리스트를 작성합니다. 중복되는 기능들이 있는지, 필요/불필요한 기능을 찾습니다.

1-4. 프로젝트 인원 구성

앱을 런칭하기까지 필요한 인원을 세팅합니다. 

구분 담당 업무 필요한 능력
프로젝트 매니저 (PM)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일정/이슈 관리 꼼꼼함, 커뮤니케이션, 경험 등
기획 전략기획자 프로젝트 전반으로 전략및 예산을 짜고, 방향에 맞게 설계 꼼꼼함, 정확한 판단, 트렌드, 경험, 재무 등
서비스기획자 APP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 및 상세 기획 설계 꼼꼼함, 전문성, 커뮤니케이션 등
디자인 디자이너 Android, IOS 등 APP 디자인 설계 모바일 디자인에 대한 이해, 경험 등
퍼블리싱 퍼블리셔 Android, IOS 등 APP 퍼블리싱 설계 모바일 디자인/개발에 대한 이해, 경험 등
개발 APP 개발자 Android, IOS 등 APP 개발 설계 모바일 퍼블리싱/개발에 대한 이해, 경험 등
아키텍처 설계 기술 검토, 흐름 설계 꼼꼼함, 전문성, 커뮤니케이션, 경험 등
서버 개발자 서버 및 네트워크 설계 전문성, 경험 등
테스터(QA/QC) APP 테스트 런칭 전 APP 테스트 꼼꼼함, 전문성, 경험 등
마케팅 마케팅 서비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트렌드, 경험 등
MD 상품소싱 MD (커머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품 소싱 및 협력 업체들과의 관계 유지 꼼꼼함, 커뮤니케이션, 경험 등

※ 위 업무들을 모두 1인이 수행하거나 자체 인원으로 진행할 수도 있지만, 외주사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아웃소싱 및 웹에이전시 순위는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GDWEB - //www.gdweb.co.kr/main/

굿디자인웹

국내 최우수 웹디자인 선정, 웹사이트. 굿디자인웹

www.gdweb.co.kr

2. APP 기획

2-1. 플로우 차트 작성

앞서 정리한 기능 리스트를 바탕으로 화면 플로우 차트를 작성합니다. 플로우 차트란, 화면 이동에 대한 순서와 화면별 기능을 간략하게 정리한 차트입니다. 플로우 차트는 XMind를 추천합니다.

2-2. 와이어프레임 작성

와이어프레임은 골격을 의미합니다. 디자인이 입혀지지 않은 뼈대 + 화면에 표시될 내용과 기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와이어프레임 제작 툴은 Adobe XD, BALSAMIQ, AXURE, VISIO, OVEN, PPT 등 굉장히 많으나, 대부분 유료 서비스이며 OVEN이 유일하게 무료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2-3. 상세 기능 리스트 작성

화면 플로우와 와이어 프레임을 작성하였으면, 앞서 작성한 기능 리스트를 점검하여 상세 기능 리스트를 작성합니다. 정보의 생성, 조회, 수정, 삭제(=CRUD)는 각각 하나의 기능으로 따로 분리합니다.

2-4. 정책 정의

위 내용들을 바탕으로 각 서비스별 정책을 정의합니다. 각 페이지&서비스와의 관계를 고려해야 하며, 꼼꼼하고 정밀한 정책 설정이 필요합니다.

3. 기술 검토 및 견적

3-1. 서버 사용 여부 결정

먼저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할지 결정하여야 합니다. 데이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기기에 저장할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를 두어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 개인정보, 비밀번호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는 철저한 보안이 요구됩니다.

삭제 되어도 상관 없는 정보나 캐시는 사용자 스마트폰 로컬 DB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정보는 서버에서 따로 관리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단순한 앱이 아니라면 대부분 서버를 두어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를 담당합니다.

앱 제작에 서버 개발이 추가 되면 앱 개발 기간과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선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을 검토하여 서버 개발이 어느 수준까지 필요한지 먼저 판단해야 합니다.

3-2. 서버 아키텍처 설계

만약 서버 개발을 하기로 했다면, 어떤 언어와 프레임워크로 개발할 지 정해야 합니다. 또한 서버 사양과 네트워크, DB 사양을 결정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규모가 크다면 소스 형상 관리, 이슈 트래킹, 빌드 및 배포 시스템도 구성합니다. 아키텍처 설계는 앱과 서버 양 쪽 모두에 경험과 지식이 있는 리드 개발자를 통해 결정합니다. 만약 전문가가 필요하다면 서버 아키텍처 전문가에게 설계를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

3-3. 앱 아키텍처 설계

앱은 크게 네이티브 앱, 모바일 웹, 하이브리드 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네이티브 앱

앱 內에 이미지와 각종 컨텐츠들을 미리 저장해두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며 스마트폰 기능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안드로이드, iOS와 같은 플랫폼에 종속됩니다. 따라서 네이티브 앱을 만들기로 했다면 안드로이드용 앱과 iOS용 앱을 따로 만들어야 합니다. 두 벌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개발 기간과 비용이 증가합니다.

모바일 웹

스마트폰 브라우저로 구동 됩니다. 앱 패키지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앱은 아니며, URL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웹의 장점은 웹 개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점과 수정할 때마다 앱 배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단, 모바일 사이즈에 맞게 반응형으로 화면을 제작해야 합니다. 그리고 앱이 아니기 때문에 구글 플레이나 앱스토어 앱을 배포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열고 사이트 주소를 입력해야 한다는 접근성의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네이티브 앱에 비해 기능이 제한적이며, 속도가 느립니다.

하이브리드 앱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의 장점을 적절하게 섞은 앱 입니다. React Native, Ionic, Framework7, PhoneGap, Onsen UI 같은 하이브리드 앱 프레임워크로 개발합니다. 즉, 껍데기는 앱이나, 속은 웹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구글 플레이 같은 플랫폼에 앱을 배포할 수 있으며, 사진 촬영, 자이로센서 등 스마트폰의 네이티브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그래도 네이티브 앱보다 느린 편이며, iOS 앱스토어 마켓에 등록하기 어렵다는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위 3가지 앱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서비스 하고자 하는 기능과 앱 배포 방법, 개발 인력 등을 고려하여 어떤 형태의 앱으로 개발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3-4. 프로젝트 기간 및 견적 도출 (앱 출시 후 운영 계획 및 비용까지 고려)

리드 개발자의 서버 아키텍처와 앱 아키텍처 설계와 지원 플랫폼, 지원 API 버전, 지원 디바이스 목록을 모두 문서화하여 정리합니다. 그리고 결정된 사항에 대해서는 고객 및 프로젝트 인원이 모두 합의해야 합니다. 앱 개발에 앞서 이런 부분들을 간과하면 프로젝트 비용이나 기간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버 개발은 서비스의 규모에 따라 천차 만별입니다. 따라서 전문가에 의해 자세한 견적을 도출해야 합니다. 

또한 프로젝트 기간 및 견적을 도출 할 때는 앱 출시 후 운영 인력과 계획도 미리 검토하여야 합니다. 프로젝트 기간과 비용 견적이 되었다면 본격적으로 앱 디자인을 진행합니다.

4. 앱 디자인

4-1. 디자인가이드 검토

안드로이드와 iOS는 각각 디자인 가이드를 두고 있습니다. 디자인 가이드는 앱 디자인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검토해야 합니다. 그리고 디자인 가이드를 준수해야 각 플랫폼에 맞는 앱 디자인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익숙한 UX/UI 경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안드로이드 디자인 가이드 : //developer.android.com/design/index.html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Android를 위한 디자인 Android 사용자는 앱이 플랫폼과 일관된 방식으로 표시되고 작동하기를 기대합니다. 개발자는 시각적 패턴 및 탐색 패턴을 위해 머티리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할

developer.android.com

  * IOS 디자인 가이드 : //developer.apple.com/design/human-interface-guidelines/ios/overview/themes/

Themes - iOS - Human Interface Guidelines - Apple Developer

iOS Design Themes As an app designer, you have the opportunity to deliver an extraordinary product that rises to the top of the App Store charts. To do so, you'll need to meet high expectations for quality and functionality. Three primary themes differenti

developer.apple.com

4-2. 유사 APP의 UX/UI 사례 검토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경쟁 어플리케이션의 UX/UI 사례를 검토하여야 합니다. 무에서 완전히 새로운 것을 창조하긴 어렵기 때문에, 사례 조사 및 벤치마킹을 통해 어떤 장점들을 가져오고 어떤 부분을 커스터 마이징 할 수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핀터레스트를 이용하면 쉽게 다양한 앱 UX/UI 사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4-3. 디자인 진행

5. API 서버 개발

5-1. 인터페이스 설계

API 서버를 사용하기로 했다면 서버와 앱이 주고 받을 데이터와 인터페이스를 설계해야 합니다. 앱 개발자와 서버 개발자가 별도로 있다면 협의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정리합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목록이 정리되면 서버 개발과 앱 개발을 진행합니다. 

API 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클라이언트 앱과 서버 간의 통신 규약입니다. API 방식에는 SOAP, RESTful이 있습니다. 요즘에는 대부분 RESTful로 개발합니다. RESTful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ful 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포맷은 JSON 이나 XML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5-2. DB설계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DB를 설계합니다. 관리할 데이터에 맞게 테이블을 생성하고 정규화 작업을 하며, 큰 규모의 프로젝트의 경우 DB 전문가인 DBA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5-3. 개발 환경 세팅 및 개발 진행

6. 앱 개발

개발 단계에서는 아이디어나 UX/UI의 큰 수정은 지양해야 합니다. 아이디어의 방향이 바뀌거나 UX/UI가 크게 바뀐다는 것은 거의 새로운 앱을 개발하는 수준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주 작은 수정이라도 시스템을 크게 고쳐야 하는 경우 역시 지양해야 합니다. 마치 건물은 1cm 옆으로 옮기는 일과 같이 겉으로 보기엔 작은 수정이지만 실제로는 엄청난 공수가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본격적인 개발 단계에 들어가기 전에 기획과 디자인을 면밀히 하여야 합니다.

앱 개발은 최대한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토타입은 간단한 화면을 만들고 타겟 디바이스에 빌드된 앱을 올려 API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모듈 하나를 빠르게 완성하고 테스트 합니다. 이를 통해 성능이나 다른 이슈가 있지는 확인해야 합니다.

7. 앱 테스트

7-1. 테스트 명세서 정리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사용자 테스트 (베타 테스트)로 구분합니다. 단위 테스트는 기능 별로 작성하며, 개발 과정에서 기능이 완성될 때 마다 개발자가 직접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7-2. 통합 테스트

통합 테스트는 시나리오 기반으로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앱의 설치 부터 로그인, 화면 이동,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 전반을 점검합니다.

7-3. 디바이스 테스트

타겟 디바이스에 앱을 설치하고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모든 디바이스에 통합 테스트를 진행하기에는 많은 공수가 들어가기 때문에 앱 설치와 주요 기능 위주로 테스트 합니다. 또한 화면 비율 문제나 버튼 동작 이슈가 없는지도 체크 합니다.

7-4. 사용자 베타 테스트

실제 사용자 중 일부에게 빌드된 앱을 발송하여 베타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이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의견을 취합하고 심각한 오류나 버그를 수정합니다.

이와 같이 APP 앱서비스 런칭을 위한 프로세스를 대략적으로 살펴 보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앞단에서 전략 및 서비스를 어떻게 기획하느냐가 될 것 같습니다.

앞단에서 방향을 잘 설정해야 뒷단 개발 및 배포까지의 무리가 없을 것 입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