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미국 역사 - 20segi migug yeogsa

초록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1898년 발생한 미서전쟁을 미국 제국주의의 역사적 시작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론은 종종 몇 가지 논쟁을 일으키곤 한다. 1776년 미국의 독립혁명과 대서양 연안 13개 식민지들의 새로운 주권 국가로서의 융합은 종전의 ‘대영제국’을 대신하는 ‘미국제국’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개념은 18세기 미국인들의 정신 구조를 지배한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 1823년 공포된 먼로 독트린도 이러한 정신의 반영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민주당의 W. J. Bryan의 필리핀 합병 반대에 대한 태도는 팽창주의(expansionism)와 제국주의(imperialism)의 미국적 개념을 분리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것이다. 그에 의하면, 팽창주의는 미국 역사의 한 부분이 되어 온 가까운 영토의 획득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제국주의는 본토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의 타 민족이 거주하는 영토를 정복하기 위한 새로운 이념이었다. 그러나 하와이와 필리핀 합병안은 각각 1898년 7월 6일과 1899년 2월 6일에 의회의 비준을 얻고 통과되었다. 미국은 이후 전략적으로는 범 태평양권을 포함하는 군사 강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는 군사 원조와 정치적 지배를 통한 통상의 증진을 기대하게 되었다.

표면적으로 볼 때, 비록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 미국의 대외 정책이 급변한 것으로 보일지라도, 그러나, 실제적으로 미국의 제국주의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전반의 내적 팽창주의 혹은 대륙적 이데올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내적 팽창주의는 남북 전쟁 이후 국내 재건과 서부 개척 수행이라는 우선적 필요성에 의해 일시적으로 잠복되어 있었을 뿐이었고, 경제 공황을 겪으면서 다시 표면으로 떠올라 미국적 제국주의로 발전해 나갔던 것이다.

Abstract

That America-Spain war to be happened in 1898 in general is regarded as historic beginning of United States of America imperialism among learned circles. But, these general consideration used to cause often several arguments. Union as independence revolution of 1776 and new sovereigns of Atlantic Ocean district along the coast 13 colonies produced result that is "United States of America empire" that take the place of previous "Great Britain". These concept became highlight that dominate 18th century Americans" mentality and Monroe Doctrine which had been promulgated in 1823 was such kind of mind to be reflected. In the meantime, Democratic Party"s W. J. Bryan"s Attitude about Philippines is very remarkable in terms of separating America"s concept of expansionism and imperialism. According to him, expansionism means territorial acquisition of next doors and Imperialism is new ideology to conquer the other territory to be as far away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Merger of Hawaii(July 6, 1898) and Philippines(February 6, 1899) through ratification by the Congress of U.S.A. had been passed those days. After that tim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 strategically appeared to military Power that had included pan-Pacific Ocean. And economically, it was expected ordinary improvement through military aid and political management. When see it phenomenally, although it looks that American foreign policy had been changed suddenly betwee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early part of 20th century, but in real terms, American imperialism was closely connected with inner expansionism or continental ideology betwee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and the early half of 19th century. Inner expansionism of the U.S.A. was hidden temporarily by preferential necessity that was domestic reconstruction and achievement of western reclamation since Civil War, and as going through financial crisis, had been risen to surface again and developed toward American imperialism.

Top 10%

...

저널정보

  • 경주사학회
  • 경주사학 학술저널
  • 慶州史學 第26輯
  • 2007.12 183 - 198 (16page)

저자정보

이용수

내서재

2

피인용수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1898년 발생한 미서전쟁을 미국 제국주의의 역사적 시작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론은 종종 몇 가지 논쟁을 일으키곤 한다. 1776년 미국의 독립혁명과 대서양 연안 13개 식민지들의 새로운 주권 국가로서의 융합은 종전의 ‘대영제국’을 대신하는 ‘미국제국’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개념은 18세기 미국인들의 정신 구조를 지배한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 1823년 공포된 먼로 독트린도 이러한 정신의 반영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민주당의 W. J. Bryan의 필리핀 합병 반대에 대한 태도는 팽창주의(expansionism)와 제국주의(imperialism)의 미국적 개념을 분리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것이다. 그에 의하면, 팽창주의는 미국 역사의 한 부분이 되어 온 가까운 영토의 획득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제국주의는 본토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의 타 민족이 거주하는 영토를 정복하기 위한 새로운 이념이었다. 그러나 하와이와 필리핀 합병안은 각각 1898년 7월 6일과 1899년 2월 6일에 의회의 비준을 얻고 통과되었다. 미국은 이후 전략적으로는 범 태평양권을 포함하는 군사 강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는 군사 원조와 정치적 지배를 통한 통상의 증진을 기대하게 되었다.
표면적으로 볼 때, 비록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 미국의 대외 정책이 급변한 것으로 보일지라도, 그러나, 실제적으로 미국의 제국주의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전반의 내적 팽창주의 혹은 대륙적 이데올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내적 팽창주의는 남북 전쟁 이후 국내 재건과 서부 개척 수행이라는 우선적 필요성에 의해 일시적으로 잠복되어 있었을 뿐이었고, 경제 공황을 겪으면서 다시 표면으로 떠올라 미국적 제국주의로 발전해 나갔던 것이다.

That America-Spain war to be happened in 1898 in general is regarded as historic beginning of United States of America imperialism among learned circles. But, these general consideration used to cause often several arguments. Union as independence revolution of 1776 and new sovereigns of Atlantic Ocean district along the coast 13 colonies produced result that is 'United States of America empire' that take the place of previous 'Great Britain'. These concept became highlight that dominate 18th century Americans' mentality and Monroe Doctrine which had been promulgated in 1823 was such kind of mind to be reflected.
In the meantime, Democratic Party's W. J. Bryan's Attitude about Philippines is very remarkable in terms of separating America's concept of expansionism and imperialism.
According to him, expansionism means territorial acquisition of next doors and Imperialism is new ideology to conquer the other territory to be as far away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Merger of Hawaii(July 6, 1898) and Philippines(February 6, 1899) through ratification by the Congress of U.S.A. had been passed those days. After that tim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 strategically appeared to military Power that had included pan-Pacific Ocean. And economically, it was expected ordinary improvement through military aid and political management.
When see it phenomenally, although it looks that American foreign policy had been changed suddenly betwee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early part of 20th century, but in real terms, American imperialism was closely connected with inner expansionism or continental ideology betwee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and the early half of 19th century. Inner expansionism of the U.S.A. was hidden temporarily by preferential necessity that was domestic reconstruction and achievement of western reclamation since Civil War, and as going through financial crisis, had been risen to surface again and developed toward American imperialism.

목차

논문 개요
Ⅰ. 머리말
Ⅱ. 미국 제국 개념의 형성
Ⅲ. 19세기 말 팽창주의의 전개
Ⅳ.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이 DBpia에서 서비스 중이라면, [참고문헌 신청]을 통해 등록해보세요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 19세기말 미국 팽창주의의 성격에 대한 연구

    姜宅求

    경주사학

    1991.12

  • 하와이 합병론에 나타난 미국 팽창주의의 성격

    강택구

    경주사학

    1998.12

  • 미국 초기 제국주의 논쟁에 나타난 민족과 종교의 문제

    강택구

    경주사학

    2008.12

  • “미국-필리핀 전쟁 전후(1898-1902)” 미국인의 인식

    박준병

    인문과학연구

    2020.09

  • 20세기초 동아시아에서의 전쟁과 평화사상 - 기독교인과 사회주의자를 중심으로 -

    이기용

    日本思想

    2008

이 논문의 저자 정보

姜宅求

소속기관 경주사학회

주요연구분야 인문학 > 역사학

논문수 3 이용수 2,584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